앵커 : 지난 2017년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로 인한 미북 간 갈등으로 한반도에 전쟁 위기가 고조됐다는 주장과 관련해 한국 청와대는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2017년 미국이 북한에 대한 핵무기 사용을 검토하는 등 미북 간 전쟁 위험이 고조됐다는 내용을 담은 미국 밥 우드워드 기자의 신간.
우드워드는 이를 통해 미국은 당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4형을 발사한 북한에 대해 핵무기 80개의 사용을 검토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14일 기자들과 만나 2017년 7~9월 한반도 상황이 위험했다는 해당 내용과 관련해 당시 청와대가 전쟁 위기를 타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다고 밝혔습니다.
구체적인 백악관 내부 이야기를 확인해주기는 어렵지만 당시 상황이 심각했던 것은 주지의 사실이며 해외 언론에도 공공연하게 ‘외과수술식 타격(surgical strike)’이라는 단어가 등장했다는 것입니다.
한국 청와대 관계자는 2017년 7월 6일 문재인 한국 대통령이 독일 베를린에서 대북 화해 기조를 천명한 이른바 ‘베를린 구상’을 언급하며 이는 전쟁 위기 타개책으로 나온 것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문 대통령이 그해 8·15 경축사에서 본격적으로 전쟁 불용 입장을 천명했다면서 “분명히 말할 수 있는 것은 핵무기 사용이 작전계획에 없고, 한반도 내 무력 사용은 한국 동의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점”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우드워드는 저서를 통해 당시 미국 네브래스카주 전략사령부가 북한의 정권교체를 위한 작전계획을 주의 깊게 연구·검토했고 이는 공격이 있을 경우 핵무기 80개를 사용할 가능성을 포함한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 정부는 14일 2주년을 맞은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소에 맞춰 빨리 사무소가 재가동되기를 희망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여상기 한국 통일부 대변인 : 한국 정부는 하루속히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재가동 되고 남북 간 연락 통로가 복원되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한국 통일부는 이날 기자설명회에서 지금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경영이 중단돼 남북 간 기본적인 연락체계도 갖추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 지속되는 것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철수한 한국 측 사무소 인력과 관련해서는 “조직 해산은 선택지에 없다”며 향후 논의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연락사무소가 폭파되기는 했지만 남북 간 연락 통로 유지와 복원이 필요한 만큼 조직 해체를 검토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풀이됩니다.
앞서 북한은 지난 6월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이 “사무소가 형체도 없이 무너지는 광경을 보게 될 것”이라고 예고한 데 이어 같은 달 사무소를 공개적으로 폭파한 바 있습니다.
이는 사무소 개소 1년 9개월 만으로, 북한의 연락사무소 폭파 이후 남북 관계는 여전히 멈춰 있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