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의 정치권은 한미가 오는 21일 정상회담에서 북한 문제에 대해 긴밀히 조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서울에서 서재덕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20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문재인 한국 대통령 간에 열리는 첫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 정착과 비핵화를 위한 협력 강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정책조정회의에서 미국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싱가포르 합의 계승이라는 실용적 대북 외교를 새로운 대북 정책의 방향으로 설정하길 바란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모쪼록 한미 정상께서 이번 회담을 통해 대북 정책을 긴밀히 조율해 조속한 시일 내에 남북 대화, 미북 대화가 재개되기를 기대합니다.
현지시간으로 지난 19일부터 미국을 방문 중인 문재인 한국 대통령은 오는 21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을 앞두고 있습니다.
한국의 제1야당인 국민의힘도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교착상태에 빠진 북핵 문제와 북한 인권 등 대북 문제에 양국이 긴밀하게 공동 대처할 수 있도록 뜻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국민의힘은 이날 대변인 논평을 통해 한미는 지난 70년을 이어온 혈맹이라고 언급하며 이번 회담이 코로나19 등 난관을 양국이 함께 헤쳐 나가는 계기가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야당인 국민의당은 이번 회담에서 한국 정부가 남북 관계와 대북 문제에 대한 판단에 있어 바이든 행정부와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바이든 행정부는 북한이 핵폐기를 위한 의미 있는 조치 없이 대미, 대남 비난으로 일관해온 행태에 대해 부정적이라며 한국 정부가 믿음직한 동맹국으로서의 존재감을 피력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이런 상황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먼저 미북 정상회담 개최부터 하자는 등 현 정권의 기존 대북 정책 입장만을 고집한다면, 문 정권의 남은 1년 임기 동안의 한미관계 역시 이전과 다를 바 없을 것입니다. 남북 관계는 남북 관계대로 교착상태에 빠지고, 한미 동맹은 더욱 삐걱거릴 것입니다.
이런 가운데 이인영 한국 통일부 장관은 남북 정상 간 합의 이행은 보수와 진보의 문제로 볼 것이 아니라며 판문점 선언의 국회 비준 동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인영 장관은 이날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등이 주최한 정책 토론회에서 남북합의서 체결·비준에 대한 동의권을 명시한 남북관계발전법 제21조 3항을 언급하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 장관은 그러면서 통일부 내부적으로는 판문점 선언의 국회 비준 동의에 필요한 절차적 검토를 거의 완료한 상태라며 향후 정당과 국회, 국민적 합의와 소통의 과정을 거쳐 적당한 시기에 국회 동의 절차를 밟아나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는 지난 2018년 4월 판문점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핵 없는 한반도 실현, 연내 종전선언,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설치, 이산가족 상봉 등의 내용을 담은 판문점 선언에 합의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