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탈북단체들 “대북전단은 인권 문제…정치적 이용 말아야”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왼쪽두번째)가 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대북전단 및 북한인권 관련 입장 발표 기자회견에서 전단을 들어보이며 발언하고 있다.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왼쪽두번째)가 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대북전단 및 북한인권 관련 입장 발표 기자회견에서 전단을 들어보이며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0:00 / 0:00

앵커 : 한국 내 탈북민단체들이 대북전단은 북한 주민들이 외부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인 만큼 이를 정치적으로 악용해선 안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서재덕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내 탈북민단체들은 8일 한국 국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대북전단 살포는 북한 주민의 알 권리이자 인권의 문제라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발표했습니다.

허광일 북한민주화위원회 위원장 : 북한 세습 독재정권으로부터 자유를 억압받고 인권을 짓밟히는 북한 동포에게 진실을 알려야 한다. 이것은 2천 5백만 북한 동포의 천부인권의 문제이다.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는 이 자리에서 한국전쟁 70주년을 맞아 전쟁의 진실과 참상을 담은 대북전단 100만장을 비공개로 보낼 것이라는 입장을 재차 밝혔습니다.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 : 김정은 폭정에 의해 북한 인민의 희생이 계속되는 한 우리 탈북민들은 사랑하는 2천만 북한 동포들에게 대북전단을 계속 날릴 겁니다.

강철환 북한전략센터 대표는 대북전단의 경우 북한 주민들이 외부 정보를 접할 수 있는 한 줄기 희망과 같다며 한국 정부는 대북전단을 규제할 것이라 아니라 정보를 통제하고 있는 북한 당국을 비판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번 공동성명에는 북한민주화위원회와 자유북한운동연합, 북한전략센터, 노체인, 큰샘 등의 한국내 탈북민단체들이 참여했습니다.

이날 기자회견을 공동주최한 탈북민 출신 지성호 미래통합당 국회의원은 북한 주민의 알 권리는 인권의 문제라고 강조하며 이를 정치적으로 악용하는 행위에 대해선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하태경 미래통합당 국회의원은 한국 정부가 대북전단 살포를 규제할 것이 아니라 북한 당국에 인터넷과 같은 정보를 주민들에게 개방할 것을 촉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하태경 미래통합당 국회의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인터넷을 개방하라고 이야기해줘야 합니다. 북한도 세계로 나와야 되고 정상국가가 돼야 합니다.

하태경 의원은 그러면서 대북전단 살포는 사전에 예고하는 것이 아닌 만큼 북한 당국이 언제 전단이 넘어오는지 모른다고 지적하며 접경지역의 긴장 고조와 대북전단 살포는 무관하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외교부 제1차관 출신인 조태용 미래통합당 국회의원은 별도의 입장문을 통해 민간인의 대북전단활동을 제지해선 안 된다고 한 한국 국가인권위원회의 결정을 언급하며 대북전단 살포를 규제하려는 한국 정부를 규탄했습니다.

앞서 한국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 2015년 1월 26일 전원위원회를 통해 한국 정부가 북한의 위법, 부당한 위협을 명분으로 민간단체나 민간인의 정당한 대북 전단활동을 단속하거나 저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선 안 된다고 결정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