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숙 전 대사 “북핵, 비확산체제 위협…안보리 결의 철저히 이행돼야”

0:00 / 0:00

앵커 : 김숙 전 유엔 주재 한국대표부 대사가 북핵은 국제 핵비확산체제에 대한 가장 큰 위협이라고 지적하며 국제사회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를 철저히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서재덕 기자가 보도합니다.

김숙 전 유엔 주재 한국대표부 대사는 5일 북한의 핵개발이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핵개발을 야기하는 이른바 ‘핵 도미노 현상’을 촉발하고 더 나아가 전 세계 평화를 심각히 위협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김숙 전 유엔대사는 이날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의 국제 핵비확산 관련 회의에서 북한의 핵개발 야욕이야말로 국제 핵비확산체제에 대한 가장 심각한 위협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김숙 전 유엔 주재 한국대표부 대사 : 북한의 핵개발 야욕을 꺾기 위해서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가 철저히 이행돼야 하고 관련국들의 강력한 외교적 노력도 지속되어야 합니다.

그러면서 북한의 핵 개발을 막기 위해 지난 2003년부터 2008년까지 6자회담이 진행됐지만 실패로 끝났다고 언급하며 북한 비핵화를 향한 노력에 전 세계가 동참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제주포럼의 다른 행사에 참석한 션 딩리 중국 푸단대 교수도 북한이 6차례의 핵실험 등 핵무기를 지속 개발해오고 있다며 이는 심각한 상황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션 교수는 북한의 핵 개발은 핵확산금지조약(NPT)에 어긋나고 불법이라면서 북한의 핵 보유는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북한 입장에선 ‘선 비핵화 후 보상’이라는 ‘빅딜’을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라며 단계적 비핵화와 일부 대북제재 완화를 교환하는 이른바 단계적 접근법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앞서 지난 1985년 핵확산금지조약(NPT)에 처음 가입했지만 2003년 최종 탈퇴했습니다.

피터 헤이즈 노틸러스연구소장은 이 자리에서 북한의 불법적 핵무기 보유에 대해 ‘동북아핵무기 청정지역 조약’과 같은 법적 구속력을 갖는 체제를 남북과 주변국들이 구축함으로써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이뤄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