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 정부는 전격적으로 이뤄진 북중 정상회담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히면서도 이번 회담이 북핵 협상 국면에 미칠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청와대는 북중 정상회담이 공식적으로 확인되자 회담 내용을 분석하고 대응방안 논의에 착수했습니다.
이날 오전 해외 순방을 마치고 돌아온 문재인 대통령도 청와대 도착 직후 관련 보고를 받으며 현안을 챙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 정부는 일단 북중 정상회담 결과를 환영하며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에 기여하길 바란다는 입장도 밝혔습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한반도 비핵화는 선대의 유훈'이라는 김정은 위원장의 발언 등으로 볼 때 북중 정상회담이 남북, 미북 정상회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다만 북중관계의 해빙 움직임이 한국의 중재로 마련된 미북간 북핵 협상에 '변수'가 될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양측의 전략적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져 이뤄진 북중 정상회담이 자칫 비핵화 추진 동력 약화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정상회담에서 '평화 실현을 위한 단계적이고 동시적 조치'를 거론한 점도 우려되는 부분입니다. 미국과 한국이 지향하는 일괄타결 방식과는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현재 상황이 지금까지의 예상을 뛰어넘는 범위에서 진행되고 있다며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추후 상황을 지켜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청와대는 오는 29일 방한하는 양제츠 중국 공산당 정치국 위원으로부터 북중 정상회담에 대한 설명을 들은 뒤 공식 입장을 낼 예정입니다.
양제츠 위원은 29일 청와대에서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만나고 30일에는 문재인 대통령을 예방합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 북중 정상회담의 결과를 자세히 설명할 예정이고, 한반도 비핵화 등 여러 가지 현안들에 대해서도 한중 간에 협의가 있을 예정입니다.
청와대는 김정은 위원장의 전격 방중 사실에 대해 한중 간에 긴밀한 협의가 있었고 방중 결과 발표 사실도 사전에 통보 받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구체적인 통보 시점과 내용은 밝히지 않았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