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북회담 앞두고 한미공조 박차…11일 외교장관 회담

0:00 / 0:00

앵커: 미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한미간 정책 공조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전날 한미 정상이 통화한 데 이어 오는 11일에는 외교장관 회담도 개최될 예정입니다.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의 중대 분수령이 될 미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한미간 협의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지난 9일 한미 정상이 통화한 데 이어 임성남 외교부 제1차관과 존 설리번 미 국무부 부장관도 같은 날 전화통화를 갖고 공조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한미 외교장관 회담도 예정돼 있습니다.

한국 외교부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현지시간으로 오는 11일 미국 워싱턴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첫 회담을 갖고 공동기자회견도 열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노규덕 외교부 대변인: 두 장관은 5월 22일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남북 정상회담의 성과 등 최근 진전된 한반도 상황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고,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을 통한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한미 외교당국 간 공조 방안 등에 대해서 심도 있게 협의할 예정입니다.

이에 앞서 미국을 방문 중인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도 오는 12일까지 머물며 수잔 손턴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대행 등과 만나 미북 정상회담 의제 등을 조율합니다.

한미 양국은 한미, 미북 연쇄 정상회담을 앞두고 이뤄진 이번 협의를 통해 공동의 북핵 해법을 도출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국 외교가에서는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이번 방북으로 미북이 큰 틀에서의 비핵화 원칙에는 공감했지만 이행 방식을 둘러싼 이견은 여전히 남아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폼페이오 장관은 "잘게 세분화하지 않을 것"이라며 북한의 단계적 해결 방식을 거부하고 있고, 존 볼턴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보좌관도 북한이 1992년 남북 비핵화 공동선언을 이행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 당국자는 "핵 폐기의 시한과 구체적인 방법론이 관건으로, 접점을 찾아야 하는 부분"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따라 오는 22일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의 핵심 쟁점 역시 미북간 비핵화 방법론의 간극을 좁히느냐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국 청와대는 지난 5일 한미 정상회담 개최 사실을 발표하며 미북 정상회담의 성공 방안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라며 한미 정상회담의 초점이 미북 회담 준비에 맞춰졌음을 시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