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남북이 판문점 선언을 이행하기 위한 후속조치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군사적 긴장완화와 체육교류, 인도적 문제에 이어 경제 협력사안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데요. 한국 정부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해제 없이 본격적인 사업 추진은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북은 26일 판문점에서 회의를 열고 남북 간 철도 연결과 북한 철도 현대화 문제를 협의했습니다.
이번 회의는 지난 4월 남북 정상이 판문점 선언에서 합의한 데 따른 겁니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본격적인 사업 추진이 어려운 만큼 이날 회의에서는 실태조사와 공동연구 등에 한해 논의가 이뤄졌습니다.
남북은 우선 다음달 중순에 경의선과 동해선의 남북 연결구간에 대한 현지 점검을 실시합니다.

이어 다음달 24일부터는 본격적인 북측 철도 구간에 대한 남북 공동조사가 진행됩니다.
경의선의 경우 개성에서 신의주 구간이, 동해선은 금강산에서 두만강 구간이 조사 대상입니다.
현지 조사는 북한 철도 현대화 공사에 착수하기 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선제 조치 중 하납니다.
현재 북한 철도는 심각한 노후화로 시속 40km 안팎의 저속 운행만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6월 19일 간담회): 북한 철도 노선의 대부분이 단선이며 기반시설이 노후화돼 있어서 시속 40km 안팎의 저속 운행만이 가능한 상태로 알고 있습니다.
남북이 철도 부문의 협력사업을 논의한 것은 지난 2008년 이후 10년 만입니다.
2010년 천안함 폭침 사건에 따른 한국 정부의 5.24 조치로 남북간 경제협력이 차단된 이후 남북이 개성공단 이외의 경협 사안에 대해 논의하는 것 역시 이번이 처음입니다.
남북은 오는 28일에는 남북간 도로 협력 분과회의를, 다음달 4일은 산림분야 협력 회의를 개최합니다.
한국 정부는 다만 본격적인 경제협력은 대북제재 등을 고려해야 하는 만큼 비핵화 진전 등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