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북 구체적 비핵화 때까지 제재해제 않을 것”

0:00 / 0:00

앵커: 미국 백악관은 북한이 비핵화를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기 전까지 제재를 해제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대북 최대한의 압박 캠페인은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세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23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북한이 완벽하고 완전한 비핵화를 향한 구체적인 행동을 보일 때까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최대한의 대북 압박 캠페인은 지속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And we're going to continue the maximum pressure campaign that has been ongoing to North Korea until we see concrete actions taken towards complete and total denuclearization.)

샌더스 대변인: 북한이 비핵화를 위한 구체적인 행동을 보여주기까지 제재가 해제되지 않을 것입니다. (No sanctions lifted until we see concrete actions taken by North Korea to denuclearize.)

그러면서 문재인 한국 대통령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의지를 미국 측에 전달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이 생각하는 비핵화의 정의가 무엇이냐는 질문엔 북한과 회담이 열리고 나서 그 세부 사항들이 어떨지 살펴볼 것이라며 그에 앞서 언급하지는 않겠다고 답했습니다.

또 이란과의 핵협상을 파기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을 북한이 어떻게 믿을 수 있냐는 질문에는 한반도에 핵무기가 없다는 것은 미국과 전 세계에서 가장 이익이 되는 일이라며 즉답을 피했습니다.

샌더스 대변인은 이어 비핵화 낙관론에 대한 우려와 관련해, 트럼프 행정부는 이전 미국 행정부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을 것이라며 북한의 말에 단순히 따르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그는 "우리는 이 과정에서 순진하지 않다"며 "올바른 방향으로 몇 걸음 가고 있지만 갈 길이 멀다"고 덧붙였습니다. (Certainly we're not going to make mistakes from previous administrations and we are not going to take the North Koreans simply at their word. Look, we're not naive in this process. We've seen some steps in the right direction but we have a long way to go.)

이어 중국이 북한에 압박을 가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해왔다며 앞으로도 더 많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이날 샌더스 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의 핵실험, 미사일 발사 중단 발표에 대해 "진전이며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느낄 수 있는 조치"라면서 미국의 목표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같은날 제임스 매티스 미국 국방부 장관도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과 관련해 "지금은 협상이 결실을 맺을 것이라는 낙관론에 많은 이유가 있다고 본다"며 "지켜보자"고 말했습니다. (Right now, I think there is a lot of reasons for optimism that the negotiations will be fruitful and we'll see")

매티스 장관은 이날 국방부 청사에서 쁘라잇 왕수완 태국 국방부 장관과 회담에 앞서 기자들에게 이같이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