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오 “북한 의구심 갖고 경계...대북압박 지속”

0:00 / 0:00

앵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은 남북 정상회담에서 이뤄진 판문점 선언을 환영하면서도, 북한의 구체적인 비핵화 실행 전까지는 최대한의 대북 압박 캠페인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27일 벨기에, 즉 벨지끄 브뤼셀에 있는 나토(NATO), 즉 북대서양조약기구 본부에서 열린 외교장관 회의에 참석해 "남북한의 역사적 회담과, 평화와 번영을 위한 한국민의 열망에 대해 축하한다"고 말했습니다.

지난달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비밀리에 만난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김 위원장이 비핵화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주도로 국제사회가 동참하고 있는 최대한의 대북 압박 캠페인 덕분에, 김 위원장이 비핵화가 최대한의 이득이라는 것을 알게 됐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에 대한 경계심을 늦춰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 나는 항상 조심스럽습니다. 이때까지 북한은 약속을 하고 나서 큰 희망을 갖게 만든 뒤 이를 내동댕이친 역사가 아주 많습니다. (I am always careful. There is a lot of history here. Promises have been made, hopes have been raised and then dashed.)

그러면서 그는 북한의 비핵화가 될 때까지는 미국의 대북 최대한의 압박 정책은 지속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명료하다"며 "미북 정상회담이 실패하면 그는 회담장 밖으로 걸어 나올 것이고 압박은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하지만 해답에 찾게되면 전 세계에 굉장한 일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도 같은날 남북 정상회담 '판문점 선언'과 관련해 미국의 대북 압박은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펜스 부통령은 27일 성명에서 미국이 아무런 양보를 하지 않았는데도 북한이 협상장에 나왔다는 사실은 트럼프 대통령의 지도력의 강점을 말해주고 있다며, 제재로 인한 강력한 압박이 작용하고 있다는 분명한 신호라고 말했습니다.

(The fact that North Korea has come to the table without the United States making any concessions speaks to the strength of President Trump's leadership and is a clear sign that the intense pressure of sanctions is working.)

이어 그는 "한국의 평화 합의는 한반도 비핵화로 향하는 발걸음이지만, 정말 딱 한 걸음일 뿐"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그는 북한이 하는 어떠한 회담과 약속, 장담은 의구심을 갖고 경계해야 하며 증명해야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미국과 북한의 정상회담 계획은 계속되겠지만, 앞서 말했듯이 미국의 대북 압박도 수그러들지 않고 계속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