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국 의회 산하 연구기관인 의회조사국(CRS)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재임기간 한국과 일본 간 갈등이 고조돼 한미일 3국 안보 공조가 더 약화됐다고 평가했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의회조사국이 ‘아베 총리 사임과 미일 동맹’(Japanese Prime Minister Abe’s Resignation and the U.S.-Japan Alliance)을 제목으로 한 보고서를 10일 공개했습니다.
보고서는 수십 년 전 북한 요원들에 의해 납치된 일본인들을 다시 데려오려고 한 아베 총리의 대북정책 목표가 실현되지 못했고, 아베 총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북 포용외교에 대해서도 경계했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과 일본의 관계가 상당히 악화됐고, 한일 간의 무역 및 전시 유산 문제에 대한 격렬한 분쟁은 미국의 동맹국인 한국과 일본의 한미일3 국 안보 협력을 차단함으로써 미국의 이익은 손상됐습니다. (Relations with South Korea worsened considerably, and bitter disputes over trade and wartime legacy issues between Seoul and Tokyo harmed U.S. interests by blocking most tr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with these key U.S. allies.)
그러면서 보고서는 동북아 지역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능력이 점점 더 진전되고, 중국의 영향력이 강화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보고서는 지난 6월 일본이 북한의 탄도미사일 요격을 위해 추진해 온 지상 배치형 미사일 방어체계인 ‘이지스 어쇼어’ 사업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면서, 미국과 일본 관리들은 그동안 ‘이지스 어쇼어’를 대북 방어의 핵심 요소로 선전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일본 정부는 2017년 말 북한의 탄도 미사일 공격 가능성을 들어 지상배치형 탄도 미사일 요격 체계인 미국산 ‘이지스 어쇼어’ 2기 도입을 결정하고, 아키타현 등 두 지역 배치를 추진하다가 지난 6월 기술적 결함이 확인됐다는 이유로 사업 중단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특히 보고서는 일본의 일부 전략가들은 최근 북한의 탄도미사일 공격을 막기 위한 단순한 방어체계인 ‘이지스 어쇼어’가 아니라, 미사일 발사 원점을 반격해 공격할 수 있는 방어 체계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그러면서 보고서는 이러한 일본의 방어체계 요구는 미일 동맹에서 오랫동안 지속됐던 미국의 ‘창’과 일본의 ‘방패’를 의미하는 상징적인 역할의 변화를 의미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의 데이비드 맥스웰 민주주의수호재단(FDD) 선임연구원은 1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아베 총리가 지난달 28일 사임을 발표한 후 현재 누가 후임 총리가 될지 확실치 않지만, 일본의 대북 정책은 크게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맥스웰 선임연구원 : 누가 아베 신조 일본 총리 후임으로 올지 확실치 않지만, 일본은 납북자 문제를 가장 중요한 대북정책으로 유지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맥스웰 선임연구원은 아베의 후임자가 북한의 미사일 공격을 방어하기 위한 일본의 방어 능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 최근 논의되고 있는 미사일 반격 공격 개념을 포함시키기 위한 미사일 방어 체계를 계속 추진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어 그는 차기 총리가 한일 간의 역사적 문제를 해결하거나 줄일 수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현재 한일 간의 갈등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 김정은 정권과 중국은 한일 간의 갈등으로 말미암아 한미일 3국 공조가 약화되는 상황을 반길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맥스웰 연구원은 한일 양국은 그들의 역사적 적대감으로 인해 북한에 이점을 주고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국 중앙정보국(CIA) 분석관을 지낸 수 김(Soo Kim) 랜드연구소 정책분석관도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차기 일본 총리가 누가 되든지 일본의 대북 정책과 입장은 큰 변화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은 일본인 납북자 문제와 핵무기 프로그램을 둘러싼 문제를 차기 총리가 어떻게 다룰지 주목할 것이라면서, 북한은 일본의 대북정책 입안을 방해하기 위한 노력으로 일본을 압박하거나 도발하는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