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이 유관국 전문가들의 참관 하에 동창리 미사일 엔진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의 영구적 폐기, 미국의 상응조치에 따라 영변 핵시설을 폐기하기로 한 가운데, 참관단 주체와 규모가 어떻게 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럽연합(EU)의 대외정책을 총괄하는 페데리카 모게리니 대표는 19일 평양 공동선언과 관련해 "북한이 관련국 전문가들의 참관 하에 장거리 미사일 엔진시험장과 발사대를 해체하겠다고 서면으로 약속한 것은 중요한 조치"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의 미사일 관련 시설 폐기 참관단에 관련 국제기구도 포함돼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유엔 산하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앤서니 필빈 공보관은19일 자유아시아방송에(RFA)에 "시설 폐쇄 및 현장 검사에 관한 모든 사항은 별도의 기관에 의해 확인 및 지적돼야 된다"고 밝혔습니다. (Any points concerning the decommissioning of facilities and inspections on site must be confirmed and commented on by separate agencies.)
그러면서 그는 "국제민간항공기구는 이러한 문제들(미사일 발사)로 인해 민간 항공 안전 측면을 우려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ICAOs mandate concerns the civil aviation safety aspects of these issues.)
이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제프리 도노반 언론홍보담당관도 19일 자유아시아방송(RFA)의 검증과 관련한 논평요청에 "최근 아마노 유키야 국제원자력기구 사무총장이 말한 의견과 최근 공개된 국제원자력기구의 보고서에 나온 입장과 같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아마노 사무총장은 지난 17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개막한 제62차 국제원자력기구 정기총회를 맞아 발표한 성명에서 "국제원자력기구는 정치적 합의가 관계국들 사이에서 이뤄진다면, 북한의 핵 프로그램을 검증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제원자력기구는 평양 공동선언에서 합의된 북한의 핵∙미사일 시설 내용에 대한 검증 요청이 있을시 검증에 참여하겠다는 뜻을 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북한 문제 당사국인 미국도 유관국 참관 가능성과 관련해 익명을 요구한 국무부 관계자는 19일 자유아시아방송과의 전화통화에서 "현재로서 말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니다"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참관국 가능성이 높은 중립국감독위원회의 스웨덴, 즉 스웨리예는 자유아시아방송 관련 질문에 추후 입장을 발표하겠다고 밝혔고, 중립국인 스위스와 러시아, 중국, 그리고 유엔 대변일실과 유엔 산하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CTBTO)는 19일 현재까지 답변하지 않았습니다.
앞서, 남북 정상은 19일 평양선언을 통해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폐기를 유관국 전문가 참관 하에 진행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북측은 동창리 엔진 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를 유관국 전문가들의 참여 하에 영구적으로 폐쇄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유관국에 어느 국가, 어느 국제기구가 포함될지 정해지지 않아 북한의 시간끌기 전략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북 핵∙미사일 시설 ‘전문가 참관’ 주체, 규모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