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유엔총회 참석차 뉴욕을 방문 중인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이 종전선언은 정치적 선언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취소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25일 미국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대북제재를 완화하더라도 북한이 비핵화 약속을 어길 경우 다시 제재를 강화하면 그만"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문 대통령은 "북한이 취해야 하는 조치는 핵 실험장과 미사일 실험장, 영변의 핵기지를 폐기하는 것이고, 또 다른 기지들과 만들어진 핵무기 등 전부를 폐기해 불가역적 조치를 취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북한의 비핵화를 전개시켜 나가도 미국으로서는 손해보는 일이 전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북한의 비핵화에 상응해 미국이 취할 수 있는 여러 조치를 구체적으로 언급했습니다.
특히 문 대통령은 "상응 조치라는 것이 반드시 제재를 완화하는 것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종전선언을 할 수도 있고, 인도적인 지원을 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도 있으며, 예술단 교류와 같은 비정치적인 교류도 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북한이 어느 정도 진지한 핵 폐기 조치를 취할 경우, 미국이 상응하는 조치를 어느 정도 해 주느냐에 달려있다"며 "미국이 속도 있는 상응 조치를 취해 준다면 북한의 비핵화 조치도 속도를 낼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미국이 북한에 너무 많은 것을 양보하는 것에 대한 우려에 대해 "지금까지 몇 번의 비핵화 합의가 실패를 한 적이 있기 때문에 이번의 비핵화에 관해서도 회의적인 분들이 많고, 과연 북한이 약속을 이행할 것인지를 믿지 못하는 분들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이번의 비핵화 합의는 과거의 비핵화 합의와 전혀 다르다"며 "미국의 대통령과 북한의 최고 지도자가 직접 만나서 합의하고, 전 세계에 약속한 것으로 그 책임감과 구속력이 다르다"고 지적했습니다.
앞서, 문 대통령은 같은날 오후 미국 민간 연구기관인 외교협회(CFR)에서 열린 '위대한 동맹으로 평화를(Our Greater Alliance, Making Peace)'이란 주제의 행사에 참석해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서로 신뢰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서로 신뢰하고 있습니다. 중단되었던 미북 간 비핵화 논의도 다시 본격화될 것입니다.
특히 문 대통령은 1년 전만 해도 전쟁의 공포에 불안해했던 남과 북, 주변국들에 꿈만 같은 일이 현재 일어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의 과감한 결단과 중국, 일본, 러시아를 비롯한 국제사회의 일관된 지지가 없었다면 이룰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어제 트럼프 대통령과 나는 이 모든 문제를 두고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눴습니다.
이어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센토사 합의'와 '판문점 선언', '평양공동선언'의 조속한 이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문 대통령은 "남북이 추구하는 종전선언은 평화체제로 나아가기 위해 거쳐야 할 과정"이라며 "북한의 비핵화 조치를 촉진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종전선언이 유엔군사령부나 주한미군의 지위에 영향을 미칠지 모른다는 일각의 우려는 사실이 아니라며 종전선언은 평화협정으로 가기 위한 정치적 선언이므로 평화협정이 체결될 때까지 정전체제가 유지된다고 설명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