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 “북 국적자 25명 송환실시 여부 조사 중”

0:00 / 0:00

앵커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에 따른 북한 노동자 본국 송환 기한이 열흘도 남지 않음에 따라 국제사회의 대응이 주목되고 있습니다. 북한 대표부가 있는 오스트리아가 현재 북한 국적자 25명 가량에 대해서 송환 조치를 실시할지 여부에 대해 조사 중에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오스트리아는 자국 내 거주 허가를 받은 북한 국적자가 25명 미만이며, 이 중에는 노동 허가가 없는 북한 국적자들이 있기 때문에 현재 송환 조치를 위해 구체적인 사례들을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오스트리아는 유엔 안보리 결의 2397호 8항에 따라 4일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에 제출한 이행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오스트리아는 빈 주재 유엔 북한 대표부가 있는 곳입니다.

유엔 의전·연락지원실이 각국 대사 및 직원 명단을 토대로 작성한 최신 '블루 북'(Blue Book)을 자유아시아방송(RFA)이 조사한 결과, 오스트리아 빈 유엔 주재 북한 대표부에는 현재 김광섭 대사를 포함해 9명이 근무하고 있고, 이들의 배우자 9명도 오스트리아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앞서, 지난해4월 제출된 오스트리아의 이행보고서에는 오스트리아 주재 북한 대표부에서 근무하던 직원들이 북한에 사치품을 보내려다 적발된 사실도 적시돼 있어 주목되기도 했습니다.

아울러 폴란드(뽈스까) 당국도 자국 내 북한 국적 노동자들이 더 이상 없다고 최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There are no more DPRK nationals working in Poland.)

폴란드 외무부 대변인 관계자는 지난해 12월22일 채택된 대북제재 결의 2397호에 명시된 바와 같이, 지난 6월 폴란드 내 북한 국적자가 모두 송환됐다고 설명했습니다. (The gradual withdrawal of DPRK labor force from Poland, as stipulated in the UN SC resolution 2397 of December 22nd, 2017 has been completed in June 2019.)

이런 가운데, 북한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네팔에서 북한 사업체가 모두 철수됐고, 북한 국적자 40여명이 송환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네팔 일간지 카바르훕(Khabarhub)은 네팔 내 북한 식당과 정보통신기술(IT) 등 모든 북한 사업체들이 폐쇄됐고, 현재까지 북한 국적자 44명이 송환됐다고12일 전했습니다.

이어 이 매체는 9월 네팔 당국이 북한 사업체들에 최후 통첩을 했고, 3개월만에 ‘히말라야 서재’ 식당과 ‘보통강’ 식당 등 북한 사업체들이 결국 폐쇄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그간 북한 국적자 33명이 네팔에 불법체류 하고 있었지만, 12일 현재 이들을 포함해 총 44명의 북한 국적자가 송환됐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이 매체는 유엔, 또 미국의 압박과 감시와 더불어 네팔 당국이 결국 모든 북한 사업체를 폐쇄시키는 성과를 올렸다고 평가했습니다.

한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지난 2017년 8월 채택한 결의 2371호를 통해 유엔 회원국들이 자국 내 북한 노동자 규모를 당시 수준에서 동결하도록 했습니다.

이어 9월 채택된 결의 2375호는 이미 발급된 노동허가증에 대한 갱신을 금지했고, 같은 해인 2017년 12월 채택된 2397호는 2019년 12월 22일까지 모든 북한 노동자를 본국으로 송환하도록 규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