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셉 윤 “종전선언, 미북관계 개선 후 가능할 것”

0:00 / 0:00

앵커 :조셉 윤 전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는 한국 정부가 제안한 한국전쟁 종전선언의 경우 미북 관계가 개선된 후에야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조셉 윤 전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는 27일 북한이 바이든 행정부에 시간을 더 줘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조셉 윤 전 대표는 이날 주한미국상공회의소와 한국의 아리랑 TV가 공동 주최한 화상 대담에서 이같이 밝히며 북한이 더 오랫동안 도발을 자제할수록 바이든 행정부 내에서 대북 관여를 옹호하는 사람들에게 기회를 더 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반면 북한이 핵 또는 미사일 실험을 강행한다면 바이든 대통령은 압박, 제재, 군사연습 등으로 대응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윤 전 대표는 또 바이든 행정부가 매우 세심한 준비 없이는 북한과의 정상회담에 응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한반도 정세 안정을 위해 하루빨리 북한과 관여할 방법을 찾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한국 정부가 제안한 바 있는 한국전쟁 종전선언 등의 경우 북한과 상응 조치들을 주고받기를 원하는 미국의 입장에선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이 핵 동결 등 비핵화를 위한 최소한의 조치라도 취할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는 설명입니다.

조셉 윤 전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 :북한이 최소한 핵 그리고 미사일 프로그램 동결을 위한 초기 조치들을 취할 준비가 되어있어야 미국은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할 것입니다. 미국에게 평화선언, 종전선언 같은 것들은 미북관계가 개선된 후에야 할 수 있는 정치적 선언입니다.

(North Korea must be prepared to take at least initial steps to freeze nuclear and missile program and then I think the US will respond correspondingly. For the US, things like peace declaration, end-of-war declaration is really a political statement that should come after there has been an improvement in the relationship.)

앞서 문재인 한국 대통령은 지난 18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비핵화 협상의 동력을 확보할 목적으로 종전선언을 추진하겠다고 말하며 이러한 구상을 바이든 행정부에 설명하고 설득해 나갈 것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조셉 윤 전 대표는 또 북한과의 협상 당시를 회상하며 미국과 북한 간 문화 그리고 의사소통 방식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를 고집하기 보다는 북한과 신뢰를 쌓고 관계를 개선하면서 이를 통해 더 나은 소통을 시도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26일 공식 취임한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에 대해서는 미국과 동맹국 그리고 동맹국들 사이의 관계를 매우 중요시한다고 말하며 특히 한국과 일본간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할 것으로 윤 전 대표는 내다봤습니다.

앞서 블링컨 국무장관은 지난 19일 미 상원 외교위원회가 개최한 인준 청문회에서 대북정책과 접근법 전반을 재검토하겠다고 말하며 이를 위해 한국, 일본 등 동맹국들과 논의하겠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도 지난 22일 동맹국들과의 긴밀한 협의 속에 북한의 현 상황에 대한 철저한 정책 검토를 진행하고 이를 시작으로 새로운 대북전략을 채택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