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개성공단에 입주한 한국 기업인들이 북한에 더 이상 사태를 악화시키지 말것을 촉구했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개성공단에 입주한 한국 기업인들로 구성된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회.
비상대책위원회는 17일 기자설명회에서 북한이 전날인 16일 개성공단에 설치된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하는 모습을 침통한 마음으로 지켜봤다고 말했습니다.
또 북한의 행동에 대해 우려와 유감을 표하며 북한에 더 이상 사태를 악화시키지 말 것을 촉구했습니다.
정기섭 개성공단기업협회 회장 : 북측에 강력히 촉구한다. 개성공단은 남북 주민들의 땀과 열정으로 가꿔온 평화 공단이다. 공단 재개를 영구히 막는 더 이상의 조치를 자제할 것을 촉구한다.
정기섭 개성공단기업협회 회장은 북한이 연락사무소를 폭파하는 영상에서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 청사 외벽이 무너져내리는 모습이 보였지만 공단 내 개별 기업 건물 등은 손상이 가지 않았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비상대책위원회는 이에 더해 개성공단 기업인들이 지난 4년여간 공단 재개를 위해 노력해왔다며 이들의 사업 의지가 꺾여서는 안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리고 대북전단 살포가 이번 사태의 직접적인 계기가 됐지만 근본적인 이유는 남북이 합의한 바를 이행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한국 정부에 남북공동선언을 실행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미국에도 한반도 평화를 위해 남북 간 대화와 협력을 존중하고 지원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앞서 남북 정상은 지난 2018년 9월 평양회담에서 조건이 마련되는대로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사업을 우선 정상화하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한국정부는 지난 2016년 2월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응해 개성공단의 가동을 전면 중단시켰고 이에 북한도 공단을 폐쇄하고 한국 측 인원을 전원 추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