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 정부가 북한의 대남 공세로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 계획을 보류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올해 1000만 달러의 대북 인도적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었다고 밝힌 한국 통일부.
한국 통일부 당국자는 30일 기자들과 만나 연초부터 세계식량계획(WFP)과 북한 내 산모 대상 영양지원사업을 지속할 방안을 협의해왔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지난 4일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이 한국 내 탈북민 단체의 대북전단 살포를 문제 삼으며 남북관계 단절을 위협하는 담화를 발표하면서 지원 계획이 보류됐다고 설명했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남북관계 제반 상황을 보아가며 사업 추진 시점을 재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2014년, 2015년 그리고 2019년 세계식량계획을 통해 북한의 영유아 산모 대상 영양지원사업을 진행하며 총 1360만 달러를 지원했습니다.
올해 추진할 예정이었던 1000만 달러 지원 계획은 지난해 한국이 동일한 사업에 공여한 450만 달러 대비 두배 이상의 규모입니다.
이는 대북 인도적 지원을 정치적 상황과 분리해서 추진한다는 한국 정부의 원칙에 따른 겁니다.
다만 현재 국면에서 유화적 행동은 북한에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박원곤 한동대학교 교수는 이날 자유아시아방송과의 통화에서 북한이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일방적으로 폭파한 것에 대해 어떠한 해명도 하지 않은 상황에서 ‘당근’을 제시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진단했습니다.
북한이 추후 어떤 것을 한국에 더 요구할지 정확히 말하지는 않았지만 이미 명시한 대북전단살포규제법 제정에 이어 요구 사항들을 더해갈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박원곤 한동대학교 교수 : 전단살포금지법 만드는 것 외에도 북한이 명확히 이야기한 것은 연합훈련, 전략자산 중단, 한미실무그룹 없애라는 것, 더 큰 틀에서는 결국 개성공단, 금강산 관광 같은 걸 국제 공조에서 빠져나와서 하라…
박원곤 교수는 또 북한이 국제기구를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한국의 인도적 지원을 받아들인다고 해도 남북관계 개선으로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