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박지원 한국 국가정보원장 후보자가 북한이 한국에 대한 비난을 이어가는 것에 대한 유감을 표했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27일 국회에서 열린 박지원 한국 국가정보원장 후보자의 인사청문회.
박지원 후보자는 이날 남북 관계 개선을 통해 미북 관계를 개선해야 하는데 북한이 한국에 대한 비난을 이어가는 것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박지원 한국 국가정보원장 후보자 : 물론 남북 간에 교류협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정부가 현실적으로 유엔 안보리, 미국 정부 제재 문제 등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하는 난제도 있습니다. 북한도 이러한 사실을 알진대 남북 관계의 개선을 통해서 미북 관계를 개선해야 하는데 자꾸 우리를 비난하는 건 참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
북한 내 코로나19 상황에 대해서는 북한이 줄곧 자국 내 확진자가 없다고 주장해왔지만 최근 북한의 집회와 간부들의 모임에서는 사람들이 마스크를 쓰고 있다며 의문점이 많다고 지적했습니다.
한미 실무그룹에 대해서는 2018년 만들어질 때 이에 찬성했었다고 밝히며 국정원장에 취임한다면 한미 간에 잘 조정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대북제재에 해당되지 않는 남북 교류협력은 활발히 추진해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박지원 후보자는 또 3차 미북정상회담 성사를 위해서 대북 특사 파견 건의를 비롯해 무엇이라도 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미북회담을 위해서 북한도 한국과 대화해야하고 문재인 한국 대통령도 적극적으로 보건협력 등을 추진하며 미북대화를 위해 나설 때라고 말했습니다.
천안함 폭침이 북한의 소행인 것을 인정하느냐는 질문에는 한국 정부의 발표를 신뢰한다며 이를 인정한다고 답했습니다.
한국의 주적이 누구냐는 질문에는 한국에 위해를 가하려고 하는 어떠한 국가도 주적이라고 답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은 한국의 “주적이면서 평화와 협력, 그리고 통일의 대상”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김대중 정부 당시 대북송금에 관여했다는 대법원의 판결에 대해 박 후보자는 인정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2000년 6.15 남북 정상회담 당시 문화관광부 장관이었던 박지원 후보자는 회담 성사 과정에서 북한에 달러를 송금한 의혹으로 대법원에서 실형을 선고받은 바 있습니다.
박 후보자는 이날 청문회에서 대법원의 판결에 승복은 하지만 사실이 아니라며 과거에도 그렇게 회담을 성사시키지 않았고 앞으로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