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김정은 위원장이 올해 신년사를 통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언제든 마주 앉을 준비가 돼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미국이 대북제재와 압박을 지속하면 새로운 길을 모색할 것이라는 입장도 강조했습니다.
서울의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1일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자신의 의지는 확고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신년사 녹화 방송을 통해 이같이 말하며 “한반도에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를 구축하고 완전한 비핵화로 나가는 것은 당과 정부의 불변한 입장이며 나의 확고한 의지”라고 밝혔습니다.
미북 정상회담 이후 핵무기 생산과 시험의 중단과 관련해 실천적인 조치를 취했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 : (미북 정상회담 이후) 우리는 이미 더 이상 핵무기를 만들지도 시험하지도 않으며 사용하지도 전파하지도 않을 것이라는 데 대하여 내외에 선포하고 여러가지 실천적 조치들을 취해왔습니다.
미북관계 개선에 적극 나서겠다는 입장도 천명했습니다. “앞으로 언제든 미국 대통령과 마주 앉을 준비가 돼있다”는 겁니다.
특히 교착 상태에 빠져있는 미북 비핵화 협상과 관련해서는 “서로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노력을 하자”고 제안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미북 두 나라 사이의 불미스러운 과거사를 계속 떠안고 갈 의사가 없다”며 “서로의 고질적인 주장에서 벗어나 협상하면 서로 유익한 종착점에 도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김 위원장은 “우리의 주동적이며 선제적인 노력에 미국이 상응하는 실천적 행동으로 화답하면 두 나라 관계는 훌륭하고 빠른 속도로 전진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미국이 북한에 일방적인 강요를 지속한다면 ‘새로운 길’을 모색할 것이라는 입장도 드러냈습니다. 미국이 북한에 요구하고 있는 비핵화 원칙에 대한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김정은 위원장 : 우리 인민의 인내심을 오판하면서 일방적으로 그 무엇을 강요하려 하고 공화국에 대한 제재와 압박을 지속하면 우리로서도 어쩔 수 없이 나라의 자주권과 국가의 최고 이익을 수호하고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이룩하기 위한 새로운 길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게 될 수도 있습니다.
한미 연합군사훈련이 한반도 정세를 긴장시키는 근본 원인이라는 주장도 펼쳤습니다.
김 위원장은 “남북이 평화번영의 길로 나가기로 확약한 이상 외세와의 합동군사연습을 더 이상 허용하지 말아야 한다”며 “외부로부터의 전략 자산을 비롯한 전쟁 장비 반입도 완전 중지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 “아무런 전제조건이나 대가 없이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을 재개할 용의가 있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김 위원장은 “우리 민족의 화해와 단합, 통일의 앞길을 가로막는 외부세력의 간섭과 개입을 절대로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이같은 김 위원장의 신년사에 환영의 입장을 표했습니다.
한국 청와대는 김의겸 대변인 명의의 서면 입장 발표를 통해 “김정은 위원장의 확고한 의지는 새해 한반도 문제가 순조롭게 풀리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평가했습니다.
한국 통일부는 “완전한 비핵화”라고 말한 김정은 위원장의 육성이 북한 주민들에게 최초로 전파됐다고 평가했습니다.
통일부가 1일 발표한 북한 신년사 평가 자료에 따르면 북한이 신년사를 통해 ‘비핵화’를 직접 언급한 것은 2011년 이후 8년만입니다.
과거 북한은 1995년과 2009년부터 2011년에 발표된 김정일 위원장의 신년공동사설에서 ‘비핵화’를 언급했습니다. 당시 김정일 위원장은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입장과 의지는 변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또한 통일부는 김 위원장이 이번 신년사를 통해 미북관계 개선에 적극적인 의사를 표명했다고 평가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의 올해 신년사 발표 형식에 대해서는 파격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위원장의 사진을 배경으로 한 소파에 앉아 발표하는 것 자체가 과거에는 없었던 새로운 형식이었기 때문입니다.
통일부는 “김여정 당 제1부부장과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 조용원 당 부부장이 김정은 위원장을 수행하기 위해 등장하는 형식도 파격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