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 ”미국 추가 제재, 북 비핵화 노력의 일환”

0:00 / 0:00

앵커: 미국이 신규 독자 대북제재를 발표한 가운데 미 재무부 고위 당국자가 25일 한국을 방문했습니다. 중국에 이어 한국 측에 미국의 신규 대북제재를 설명하고 이와 관련한 공조를 요청하기 위해서입니다. 이에 대해 한국 정부는 긴밀하게 협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을 방문한 시걸 맨델커 미국 재무부 차관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 자금을 차단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맨델커 차관의 방한은 북한의 무기 개발 자금 차단과 관련한 미국의 신규 독자 대북제재를 설명하고 이에 대한 공조를 요청하기 위해서 입니다.

맨델커 차관은 25일 한국의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을 만나 이와 관련한 양자 협의를 벌였습니다.

한국 외교부는 정례 기자설명회를 통해 미국의 신규 대북제재 조치와 관련해 긴밀하게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양측은 이번 협의에서 제재와 압박을 통해 북한을 비핵화 대화로 견인해야 한다는 점에 의견을 같이했습니다.

노규덕 외교부 대변인: 이번 미국 정부의 대북 독자 제재 대상 추가는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미국의 의지를 재확인한 것으로 강력한 대북제재와 압박을 통해 북한을 비핵화의 길로 이끈다는 국제사회의 공동 노력의 일환으로 평가합니다.

노 대변인은 이어 "한미 양국은 북핵 문제의 평화적, 외교적 해결이라는 공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긴밀히 공조해왔고 앞으로도 그렇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은 현지시간으로 지난 24일 북한 해운 회사 5곳과 선박 6척, 중국 무역회사 2곳과 북한인 16명을 제재 대상에 추가했습니다. 북한의 원유공급성도 처음으로 미국의 거래금지 명단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맨델커 차관은 이같은 미국의 독자 제재를 설명하고 관련 국가들에 협조를 요청하기 위해 중국 베이징과 홍콩, 도쿄, 서울 등 동아시아를 순방하고 있습니다. 맨델커 차관은 서울에 앞서 방문한 베이징에서도 중국 고위 당국자들에게 대북제재와 관련한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맨델커 차관의 이번 동아시아 순방은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한반도 긴장이 완화되는 상황과는 별개로 미국 중심의 대북 압박 기조는 변함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행보로 관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