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 청와대가 조 바이든 미 대통령과 문재인 한국 대통령의 통화를 조속히 추진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청와대는 27일 조만간 한미 정상 간 조 바이든 미 대통령 취임 축하 차원의 통화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의 통화에서 한미 정상 간 통화를 조속한 시일 내에 추진하기로 서로 생각을 같이했다”며 “(한미 정상 간 통화 일정과 관련해) 조만간 알려드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 정부는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미국 현지시간으로 지난 26일 미 의회의 인준을 통과해 공식 취임한 것에 대해 환영의 입장을 밝혔습니다.
한국 외교부는 27일 내놓은 대변인 명의의 논평을 통해 “한국 정부는 한미관계와 한반도 문제에 대한 이해가 깊고 풍부한 경험과 탁월한 리더십을 갖춘 블링컨 장관의 취임을 계기로 한미 동맹이 더욱 굳건히 발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외교부는 지난 26일에도 바이든 행정부와 북한 비핵화 달성을 위해 긴밀히 협의할 것이란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최영삼 한국 외교부 대변인(지난 26일):한국 정부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 목표 달성을 위해 앞으로도 미국 측과 공동으로 협의하고 노력해 나갈 것입니다.
블링컨 장관이 공식 취임함에 따라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한미 외교 장관 간의 통화도 이뤄졌습니다. 블링컨 장관이 취임하자마자 이뤄진 한미 외교장관 간 소통은 27일 오전 30분 동안 이뤄졌습니다.
블링컨 장관과 강경화 한국 외교부 장관은 통화에서 북핵 문제의 시급성에 대해 공감하고 북한 비핵화 문제의 해결을 위해 한미 양국이 긴밀히 협의해야 한다는 점에 의견을 같이했습니다.
미 국무부 보도자료에 따르면 한미 외교장관은 한미동맹이 인도·태평양 지역과 세계의 평화, 안보, 번영의 핵심축(Linchpin)이라는 점에 대해 의견을 같이했습니다.
이어 미 국무부는 “블링컨 장관이 한미일 3자협력 지속의 중요성과 북한 비핵화의 필요성, 동맹 강화에 대한 바이든 대통령의 약속을 강조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한국 외교부는 양측이 한미관계와 한반도 문제, 지역과 국제 사안 등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습니다.
강경화 장관은 블링컨 장관과의 통화에서 “한미 간 긴밀한 소통과 공조를 지속해 나가길 희망한다”며 “한국의 신임 외교장관이 취임하는대로 블링컨 장관과 조기 소통하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한국 청와대는 강경화 장관의 후임으로 정의용 전 한국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내정해 놓은 상황입니다.
이에 블링컨 장관은 한미동맹을 앞으로도 더 굳건히 발전시켜 나가길 희망한다고 화답했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이날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과도 첫 전화통화를 가졌습니다. 이 자리에서도 블링컨 장관은 미일동맹이 인도·태평양 지역과 세계의 평화, 안보, 번영의 초석임을 확인하면서 한미일 3자협력이 지속되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한국 청와대는 지난 26일 문재인 한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간의 통화가 이뤄졌다고 밝혔습니다.
강민석 한국 청와대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시 주석이 변함없는 방한 의지를 보여준 것을 평가한다”며 “코로나 상황이 안정돼 여건이 갖춰지는 대로 시 주석의 방한이 조기에 성사될 수 있도록 양국이 계속 소통하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시 주석은 남북, 미북 대화를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시 주석은 “북한이 8차 당대회에서 밝힌 대외적 입장은 미국, 한국과 대화의 문을 닫지 않았다는 것으로 본다”며 “한반도 정세는 총체적으로 안정적”이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