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일 “북 완전한 비핵화 의지 재확인”

0:00 / 0:00

앵커 : 미국과 일본이 안전보장협의 위원회, 이른바 '2+2 회담'을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의지를 재확인했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 장관과 로이스 오스틴 미 국방부 장관,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 기시 노부오 일본 방위상은 16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미일 안전보장협의 위원회, 이른바 ‘2+2 회담’에서 북한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아래 모든 의무를 따를 것을 촉구했습니다.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미일 양국의 의지도 재확인했습니다.

일본 매체들에 따르면 미일은 이날 ‘2+2 회담’의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와 일본인 납북자 문제의 즉각적인 해결의 필요성을 확인했다”며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한미일 3국의 협력이 불가결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이날 ‘2+2 회담’ 이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대북 압박을 포함해 모든 선택지를 열어 두고 대북정책을 재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 같은 작업을 동맹국과 함께 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특히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이나 북한 인권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룰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블링컨 장관은 북한발 위기를 줄일 방안에 대해 여러 전문가들과 논의 중이라면서 지난달 중순부터 복수의 소통 창구를 통해 북한에 연락을 시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한 북한의 반응은 전혀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김여정 북한 당 중앙위원회 부부장의 16일 담화와 관련해서는 “별로 익숙하지 않은 코멘트지만 매우 흥미롭다”고 평가했습니다. 김여정 부부장은 이날 “4년 간 발편잠을 자고 싶은 것이 소원이라면 시작부터 잠 설칠 일거리를 만들지 않는 것이 좋을 것”이라는 대미 메시지를 내놨습니다.

앞서 블링컨 장관은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과의 양자회담에서도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해 동맹과의 협력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미 국무부에 따르면 블링컨 장관은 이날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과의 양자 회담 모두발언을 통해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동맹들과 지속적으로 협력할 것이란 입장을 밝혔습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미일동맹의 핵심 요소 중 하나는 북한의 비핵화입니다. 이를 위해 미일은 친구이자 파트너로서 계속 노력할 것입니다.

블링컨 장관은 한미일의 협력이 중요하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다음 방문지인 서울에서 한미일 3국의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블링컨 장관은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와 관련해서는 “일본의 주권, 일본 국민의 생명 및 안전에 중요한 일본인 납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일본 매체들에 따르면 모테기 외무상도 이날 블링컨 장관과의 회담 이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른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실현을 위해 긴밀하게 협력하기로 했다고 강조하면서 한미일 간의 긴밀한 협력이 중요하다는 점도 재확인했습니다.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부 장관도 ‘2+2회담’에 앞서 미일 국방장관 회담에 참석해 미일동맹을 강조했습니다. 오스틴 장관은 이 자리에서 “(미일은)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을 유지하고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주춧돌의 역할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방일 일정을 소화한 블링컨, 오스틴 장관은 오는 17일부터 한국을 방문할 예정입니다.

한국 외교부는 미국의 국무, 국방부 장관이 동시 방한하는 것에 대해 한미동맹을 중시하는 미국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미국의 국무, 국방부 장관이 동시에 방한한 것은 지난 2010년 7월 이후 처음입니다.

최영삼 한국 외교부 대변인:바이든 행정부 출범 초기 국무부 장관과 국방부 장관이 함께 방한하고 5년 만에 외교·국방, '2+2 회담'이 개최되는 것은 한미동맹을 중시하는 바이든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평가합니다.

한국 정부에 따르면 한미 외교장관 회담과 국방장관 회담은 오는 17일에, 한미 외교·국장장관 회담인 ‘2+2 회담’은 오는 18일 오전에 개최될 예정입니다. 블링컨, 오스틴 장관은 18일 오후엔 문재인 대통령을 예방하는 일정도 소화합니다.

이어 블링컨 장관은 한국의 청년 지도자, 언론 등과 화상 간담회를 갖고 오스틴 장관은 서욱 국방부 장관과 함께 현충원을 참배할 예정입니다.

블링컨 장관과 오스틴 장관은 각각 오는 18일과 19일 방한 일정을 마무리하고 한국을 떠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