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북 미사일, 신형무기 가능성…남한 전역 사정권”

0:00 / 0:00

앵커 : 한국 국가정보원은 북한이 9일 발사한 단거리 미사일이 신형무기일 가능성을 제기하며 남한 전역이 사정권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울의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국가정보원은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이 신형무기일 가능성을 거론하며 이 때문에 관련 분석이 늦어지고 있다고 10일 밝혔습니다.

한국 국회 정보위원회의 여야 간사들은 이날 오후 한국 국정원으로부터 북한이 지난 9일 발사한 미사일과 관련된 내용을 보고 받고 이를 기자설명회를 통해 밝혔습니다.

한국 국정원은 북한이 이번에 발사한 미사일이 탄도미사일일 가능성에 대해 “탄도미사일이 아니라고 결론 낸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북한의 이번 미사일은 남한 전역을 사정권에 두고 있는 무기라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한국 국정원에 따르면 9일 발사된 북한 미사일의 정점 고도는 약 40km이며 1차 미사일은 420여 km, 2차 미사일은 270여 km를 비행했습니다. 국정원은 북한의 이번 미사일 발사가 9.19 남북군사합의의 취지를 위반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한국 국정원은 북한이 4일 발사한 발사체와 9일 발사한 미사일이 외형상 동일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무기의 제원이나 사거리, 속도, 탄도 등을 정밀 분석해야 4일과 9일 발사된 발사체와 미사일이 동일한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는 게 국정원의 설명입니다.

다만 국정원은 4일과 9일 서로 다른 이동식발사대가 사용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은재 한국 국회 정보위원회 자유한국당 간사 : 지난 4일에 발사할 때는 타이어가 붙은 차륜형 이동식발사대가 사용됐습니다. 지난 9일 발사 당시에는 두발 모두 궤도형 이동식발사대를 통해 발사됐습니다.

국정원은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한 의도에 대해서는 자위적인 군사훈련의 목적과 한미연합훈련, 한국군의 첨단무기 도입 등에 대한 반발의 표출 차원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북한이 남남갈등의 유발과 북한 주민들의 불만 단속, 북한 내부 응집을 위해 미사일을 발사했다는 분석도 내놨습니다.

이은재 한국 국회 정보위원회 자유한국당 간사 : 한국 국민들의 안보 불안감 조성과 내부 갈등 조장에 목적이 있습니다. 한국 국방부가 북한 단거리 발사체 발사는 9.19 군사합의 취지에 어긋난다고 발표한 것에 대한 반발이라는 분석도 내놨습니다.

다만 북한 미사일의 탄착 지점이 북한 영역 내라는 점에서 북한이 대화의 판을 깨려고 하는 것은 아니라고 분석했습니다.

북한은 9일 2발의 단거리 미사일 외에 서해상으로 240mm 다연장포도 발사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또한 한국 국정원은 김락겸 북한 전략군사령관이 4일과 9일 모두 발사장에서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박정천 포병국장과 김평해, 오수용 노동당 부위원장, 조용원 당 제1부부장 등이 미사일 발사장에 참석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런 가운데 합참은 지난 9일 발사된 북한의 발사체를 단거리 미사일로 평가했습니다.

한국군 관계자는 10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9일 북한의 발사체는 현재까지 단거리 미사일로 평가하고 있다”며 이는 한미 공동 평가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미 정보 당국도 북한이 9일 발사한 미사일이 순항미사일인지, 탄도미사일인지 여부에 대해 정밀 분석 중입니다.

한국 청와대는 미국 국방부가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을 탄도미사일이라고 발표했다는 일각의 보도에 대해서는 “한미군 당국이 계속 분석 중”이라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아직 미국측의 공식적인 입장이 나온 것은 아니라는 겁니다.

한편 한국 청와대는 북한의 연이은 무력 시위로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 2주년을 맞이해 개최하려던 청와대 출입기자들과의 환담 행사를 연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