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 국회의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이 북한이 한국의 여러 주요 기관들을 해킹한 정황이 있다며 한국 정부에 사이버공격 심각단계를 발령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의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1일 한국의 여러 핵심 국가기관과 방산업체 및 안보기관에 대한 북한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해킹 시도가 있었다고 주장했습니다.
하 의원은 이날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이같이 밝히며 “대한민국의 군사기밀이 북한으로 넘어간 것으로 보인다”며 “그 파장이 어떨지 심각하게 우려되는 상황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즉각 국가 사이버테러 비상사태를 선포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이것은 마치 천안함 폭침, 연평도 포격 사건과 똑같은 상황입니다. 사이버 공격이라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뿐, 대한민국 국가안보와 국가이익에 끼치는 손해, 위협이 심각하고 중대한 사안입니다.
또한 하 의원은 한국 정부가 북한의 해킹에 대응해 한미 사이버안보 긴급회의를 개최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북한의 해킹을 당한 한국의 방산업체들의 경우 미국 등 해외의 방산업체와 핵심기술을 공유하고 있고 업무망도 연결돼 있어 이와 관련해 미국과 공동 대응을 해야 한다는 겁니다.
하 의원은 “북한 해커 조직은 미국을 직접 위협할 수 있는 원자력추진잠수함 등 핵심 기술을 집중적으로 노리고 있다”며 “의원실에서 자체 파악한 바로는 미국 측은 한국 내 방산업체, 안보기관 등에 대한 북한의 해킹 관련 정보를 공유 받지 못한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지난 5월 한국형 전투기 KF-21 등을 제작하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을 대상으로 이뤄진 해킹과 관련해선 ‘탈륨’으로도 불리는 북한의 해킹 조직인 김수키가 관여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습니다. KAI에 대한 해킹 공격이 지난 5월 한국의 원자력연구원을 해킹한 김수키의 수법과 동일하다는 겁니다.
앞서 하 의원실은 지난달 30일 KAI 내부망이 해킹 당해 KF-21의 설계도면이 탈취됐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북한이 이 같은 해킹을 감행했을 것으로 추정한 바 있습니다.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 KAI는 6월 16일 국가정보원으로부터 해킹 사실을 전달받고 긴급조치를 취했다고 합니다. 해킹 당한 방식은 북한 정찰총국이 한국원자력연구원을 해킹한 수법과 똑같습니다. 그 수법은 가상인터넷망을 의미하는 VPN 취약점을 이용해 침입하는 것입니다.
최근 북한 해킹 조직은 한국 내 특정 보안업체의 가상사설망, 즉 VPN의 취약점을 활용한 공격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이 해당 보안업체의 VPN을 사용하는 주요 국가기관들을 찾아내 공격을 집중하고 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익명을 요구한 보안전문가는 자유아시아방송에 “최근 발생하고 있는 북한 소행으로 보이는 해킹의 경우 한국의 특정 보안업체 VPN의 취약점을 활용하는 것으로 해당 VPN을 사용하는 국가기관들의 경우 이미 해킹을 당했을 가능성이 크다”며 “특히 최근 재택근무로 VPN을 통해 업무가 이뤄지다보니 북한으로선 해킹이 용이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올해 들어 한국의 기간시설, 방산업체, 안보기관 등에 대한 북한의 해킹 시도가 지속적으로 포착되고 있습니다.
앞서 자유아시아방송은 대한송유관공사에 대한 북한의 해킹 시도가 지난 3월 있었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또한 하태경 의원실은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지난 5월 북한에 의해 해킹을 당했다고 밝혔습니다. 잠수함을 건조하는 대우조선해양도 해킹으로 일부 자료가 유출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 해킹에도 북한이 관여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태경 의원은 “북한이 이번 해킹 사태의 범인으로 밝혀진다면 한국 정부는 그에 상응하는 비군사적 대응조치로 북한에 강력한 항의와 경고를 보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