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주한미군사령부는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인 '화성-15'가 미국 본토 전 지역을 타격할 수 있다는 공식적인 평가를 내놨습니다.
서울의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주한미군사령부는 11일 내놓은 ‘2019 전략 다이제스트 - 2018 한반도의 한 해’라는 보고서를 통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인 ‘화성-14’는 미국 본토 대다수 지역에 도달할 수 있고 화성-15에 대해서는 “미 본토 전 지역 타격이 가능하다”는 평가를 내렸습니다.
주한미군사령부는 화성-15의 사거리를 8000마일, 1만 2874km로 추정했습니다. 미국 본토 대다수 지역에 도달할 수 있다고 평가한 화성-14의 사거리는 6250마일, 1만 58km로 추정됩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2017년 한 해 동안 20차례 이상의 미사일 발사를 감행했습니다. 화성-14의 경우 두 차례, 화성-15의 경우 한 차례 발사됐습니다. 화성-14와 15의 시험 발사는 지난 2017년 3월 북한의 로켓 엔진 시험 이후 이뤄졌습니다.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인 화성-12의 경우 2017년 한 해 동안 세 차례 발사됐습니다.
주한미군은 현재 북한이 단거리탄도미사일, 준중거리탄도미사일, IRBM, ICBM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ICBM은 3418마일, 5500km 이상의 사거리를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화성-13과 1만 58km의 사거리를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화성-14, 미국 전역을 타격할 수 있는 화성-15 등으로 구분됩니다.
북한은 2000마일, 3200km 이상의 사거리를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화성-10과 1800마일, 2900km 이상의 사거리를 가진 화성-12 등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한미군사령부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지난 2016년과 2017년 거듭된 북한의 도발이 2018년에 중단된 점은 환영하지만 한미동맹이 여전히 북한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는 근본적인 현황은 변함이 없다”고 평가했습니다.
북한의 비핵화와 관련해서도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미사일 시험장의 폐기와 풍계리 핵실험장의 해체를 지시했지만 여전히 최종적이고 완전히 검증된 비핵화라는 궁극적인 목표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수많은 과제가 남아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주한미군사령부는 북한의 국방비는 39억 달러, 세계 4위의 군사력을 보유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현역군은 150만 명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의 연합뉴스는 유엔군사령부가 한반도 유사시 전력을 지원받을 국가, 즉 ‘전력제공국’에 일본을 포함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해당 보도에 대해 한국 국방부는 11일 정례 기자설명회에서 “(일본의 유엔사 전력제공국 포함에 대해) 논의된 바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노재천 한국 국방부 부대변인 : 일본은 6.25전쟁 참전국이 아니기 때문에 전력제공국으로 활동할 수 없습니다. 일본의 참여는 논의된 바 없습니다. 검토한 바도 없습니다.
이어 노 부대변인은 “전력제공국이 아니라 참모 활동으로 유엔사 요원의 자격으로 활동할 경우에도 반드시 한국 국방부와 협의해야 가능하다”며 “유엔사의 역할은 정전협정에 따른 정전 유지와 한반도 유사시 전력을 통합해 연합사 작전을 지원하는 역할에 한정된다”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