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일본공사 “북 비핵화 한미일 공조중요…전략 공유해야”

숭실평화통일연구원과 송영길 국회외교통일위원장이 16일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동북아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한 국제학술회의를 공동개최했다.
숭실평화통일연구원과 송영길 국회외교통일위원장이 16일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동북아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한 국제학술회의를 공동개최했다. (RFA PHOTO/목용재)

0:00 / 0:00

앵커 : 주한 일본 대사관 공사가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 한미일의 공조가 중요하다며 3국 간 관련 정보, 전략을 공유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에 주재하고 있는 일본과 중국, 러시아, 즉 로씨야 대사관 인사들이 16일 한반도의 평화정착 방안을 모색하는 국제학술대회에 참석해 북한의 비핵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이날 미바에 타이스케 주한 일본대사관 공사는 숭실평화연구원과 송영길 한국 국회 외교통일위원장 측이 공동 주최한 토론회에 참석해 한미일의 공조가 북한 문제 해결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미바에 타이스케 주한 일본대사관 공사 : 우리의 공통 목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특히 한미일의 공조가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정보를 공유하고, 인식을 공유하며 전략을 공유해야 합니다. 그러면서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노력을 함께 해 나가야 합니다.

이어 미바에 공사는 한국 정부가 북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한일 간의 공조가 중요하다는 점도 덧붙였습니다.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와 북한 인권의 개선 등 한국 정부의 대북정책 정책 방향이 일본 정부와 일치한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미바에 공사는 “한일은 북한 문제에 있어 관련 이익을 공유하며 한 배를 타고 있는 관계”라며 “한국과 일본은 모두 미국의 동맹국이기 때문에 동북아시아 지역에 대한 미국의 안정적이고 건전한 관여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1차 미북 정상회담에서 이뤄진 미북 정상 간의 북한 비핵화 합의가 신속히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 일본 정부의 입장이라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팡쿤 주한 중국대사관 공사참사관은 북한 비핵화는 대화를 통해 실현시켜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중국의 한반도 정책은 북한의 비핵화 실현과 한반도 평화유지,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이 기본 입장이라는 점도 재차 강조했습니다.

팡쿤 주한 중국대사관 공사참사관 : 비핵화를 실현하는 과정에서 전쟁 등 큰 혼란이 초래되는 것은 용납할 수 없습니다. 중국은 비핵화와 평화, 안전 중 어느 것 하나도 없어서는 안 된다는 입장입니다.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만이 유일한 방법입니다.

개성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북한의 행태에 대해서는 아쉽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팡쿤 공사참사관은 “북한이 (연락사무소 폭파와 같은 행위를) 하지 말았어야 했다”며 “다만 남북이 대화를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잘 풀어야 한다는 것이 중국의 입장”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발레리 구엔코프 주한 러시아대사관 공사참사관은 한반도 주변의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남북 간 협력 사업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특히 남북러 간 철도연결 사업을 통해 시범 운송 사업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발레리 공사참사관은 “장기적으로 봤을 때 한반도에서의 협력사업은 한반도 문제 해결 과정에 추가적인 자극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날 학술대회에 참석한 정경영 한양대학교 교수는 북한이 사실상 핵보유국의 지위를 얻을 경우 한미가 북핵에 대한 전략적 타격체계를 조기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한미가 전술핵무기, 혹은 NATO, 즉 북대서양조약기구 형 핵 공유를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정 교수는 “핵 협상이 무산돼 북한이 핵 미사일을 대량생산하고 전력화를 감행하면 한미는 핵 전쟁에 대비해야 하며 한국은 핵무장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이날 국제학술대회에는 주한 미국대사관 측 인사가 참석할 예정이었지만 미 대사관 측의 내부 사정으로 참석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