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지난해 9월 서해에서 북한에 의해 사살된 한국 해양수산부 공무원의 형이 남북 통신연락선 복원을 계기로 북한으로부터 해당 사건과 관련한 재발방지 약속을 먼저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해 서해에서 북한군의 총격으로 세상을 떠난 한국 해양수산부 공무원의 형인 이래진 씨는 2일 자유아시아방송과의 전화 인터뷰를 통해 남북 통신연락선 복원 직후 대북 인도물자의 반출을 승인한 한국 통일부를 비판했습니다.
지난해 9월 발생한 서해 한국 공무원 피격 사건에 대한 재발방지 대책 등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내려진 이 같은 조치는 유족으로서 받아드리기 어렵다는 겁니다. 지난해 한국 통일부는 해당 사건에 대한 대응 조치 차원에서 한국 민간단체들의 대북 인도협력 물자 반출 승인을 보류해 오다가 지난달 30일 이를 재개했습니다.
이래진 씨는 한국 통일부가 남북 통신연락선 복원과 이를 통한 남북관계 개선 추진 작업에만 집중하고 있다며 이를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한국 통일부가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에 대해 소극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
이래진 씨: (통신연락선 복원 이후) 제가 먼저 한국 통일부에 연락했습니다. 현재 한국 정부는 먼저 전화해서 설명이나 양해를 구한 적이 없습니다. 제가 먼저 연락해서 상황이 어떤지 물어봐야 얘기해주는 수준밖에는 되지 않습니다.
앞서 이인영 한국 통일부 장관은 지난달 30일 내신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과 관련한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았습니다. 민간단체들의 대북 인도협력 물자 반출의 승인을 다시 시작했다고 설명하는 과정에서 “지난해 9월 ‘서해상 우리국민 사망사건’ 이후 이뤄지지 않았던 것을 10개월 만에 재개하려 한다”고 밝혔을 뿐입니다. 이에 앞서 한국 통일부의 경우 지난달 28일 해당 사건에 대해 북한과 협의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란 입장만을 밝힌 바 있습니다.
이래진 씨는 남북 통신연락선 복원을 계기로 자국민 보호 등과 관련된 한국 정부의 입장이 먼저 발표됐어야 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래진 씨:한국 국민이 사살됐는데 한국 정부와 대통령이 이 부분에 대해 언급도 하지 않았습니다. 통신선이 복원됐으면 한국 국민의 생명과 안전 보장과 관련한 담보를 받아야, 또 확답을 받아야 하는데 그런 언급은 없고 대북지원을 승인했다고 합니다. 자국민이 죽었는데 대북지원을 한다고요? 이것은 안 되죠.
이 씨는 남북 통신연락선 복원을 계기로 북한 당국으로부터 직접적인 사과도 받고 싶다고 밝혔습니다. 김정은 당 총비서가 지난해 9월 사건 발생 이후 밝힌 “대단히 미안하게 생각한다”는 입장은 유족들에 대한 직접적인 사과는 아니었다는 겁니다.
이 씨는 “당시 김정은 총비서는 유가족들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며 “공식적으로 북한을 방문해 사건 발생 해역도 직접 찾아가고 직접적인 사과도 받고 싶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씨는 내달 22일 피격 사건 발생 1주기에 북한에 의해 사망한 동생의 장례식을 치를지 여부에 대해선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의 직접적인 사과나 재발방지 약속 없이는 동생의 장례를 치를 계획이 없다는 겁니다.
현재 이 씨는 문재인 한국 대통령을 비롯해 서해 해수부 공무원 피격 사건과 관련된 한국 정부의 관계자들에 대한 형사고발을 준비 중입니다.
이 씨는 “한국 청와대와 해양경찰청이 연락을 회피하는 등 유족들과 적극 소통하지 않고 북한과 소통하려고 한다”며 “직무유기, 살인방조, 명예훼손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기자 목용재, 에디터 오중석, 웹팀 최병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