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오 “북핵, 가야할 길 남아”…남북미, ARF계기 외교전 돌입

0:00 / 0:00

앵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리용호 북한외무상이 3일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 참석하기 위해 싱가포르에 도착했습니다. 미국과 한국, 북한이 ARF를 계기로 비핵화와 종전선언 문제 등을 둘러싸고 외교전을 시작했습니다.

서울의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비핵화 협상, 종전선언의 당사국인 미국과 한국, 북한의 외교 수장이 3일 싱가포르에 모였습니다.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 참석하기 위해 싱가포르를 방문한 남북미 외교 수장들이 비핵화, 종전선언과 관련해 진전된 논의를 벌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3일 오전 싱가포르에 도착해 북한이 여전히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를 위반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이 비핵화 약속 이행과는 거리가 먼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겁니다.

AP통신에 따르면 폼페이오 장관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은 유엔 안보리의 결의 하나 또는 둘을 위반하고 있다"며 "우리가 바라는 궁극적인 결과를 달성하기까지 가야할 길이 남아있다"고 말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싱가포르 방문 기간동안 한국과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회원국들과의 양자회담 일정도 소화합니다. 한미 외교장관 회담은 4일로 예정됐습니다.

리용호 북한 외무상도 이날 오전 베이징발 항공편으로 싱가포르 창이공항에 도착했습니다. 리 외무상은 이날 오후 왕이 중국 외교부장을 만나 북중 외교장관회담을 가졌습니다. 왕 부장이 지난 2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종전선언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완화를 언급한 만큼 이와 관련된 논의가 이뤄졌을 것으로 관측됩니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 대북제재는 북한의 비핵화 진전에 따라 당연히 새롭게 다시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강경화 장관은 지난 1일 싱가포르에 도착해 주요국, 아세안국가들을 상대로 외교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3일에는 왕이 외교부장을 만나 한중 외교장관회담을 개최했습니다. 한-아세안 외교장관회의에도 참석해 최근 한반도의 정세를 아세안 국가들에 설명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아세안 국가들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적극 기여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강 장관은 뉴질랜드, 캐나다의 외교장관들과도 양자 회담을 갖고 현안을 논의했습니다.

강 장관은 지난 2일에도 고노 다로 일본 외무대신,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교장관과 양자회담을 갖고 최근 남북관계와 관련된 동향을 공유했습니다.

향후 주목되는 점은 한국과 미국, 북한이 각각 남북, 미북 양자회담을 개최할 것인지 여부입니다. ARF를 계기로 남북미가 진전된 비핵화, 종전선언 논의를 벌일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립니다.

현재까지는 미북, 남북 양자 외교장관회담의 성사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한국 정부는 지속적으로 남북 외교장관회담을 추진 중입니다. 리용호 외무상은 싱가포르에 도착한 뒤 남북 외교장관회담에 응할 것이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아무런 답변도 하지 않았습니다.

미국 정부도 북한 측에 양자회담을 제안해 놓은 상황이지만 북한이 확답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