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 통일부는 북한이 황강댐의 수문을 사전 통보 없이 개방해 방류했다면서 북한에 남북 합의를 이행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통일부는 4일 북한이 7월부터 지난 3일까지 모두 세차례에 걸쳐 황강댐 수문을 열고 방류를 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히며 북한 당국이 댐의 수문을 열어 방류할 경우 한국 측에 이를 사전 통보해주기로 한 남북합의가 이행되지 않았다는 점을 언급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북한이 수문을 개방하면서 사전 통보를 한 것은 없다”며 “현재 정치, 군사적 냉각국면으로 인해 남북 간 자연 재해 협력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은 불행한 일”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한국 정부는 남북 간 합의가 반드시 이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남북관계가 복원되면 재해 분야에서 남북 간 협력을 본격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남북은 지난 2009년 10월 임진강 수해 방지 관련 남북 실무회담을 개최한 바 있습니다. 이 회담은 같은 해 9월 북한이 황강댐의 수문을 예고없이 개방해 한국의 경기도 연천군 주민 6명이 사망한 것이 계기였습니다.
당시 한국 정부는 재발방지를 위한 사전통보체계 구축을 위해 북한에 댐 명칭, 방류량, 방류 이유 등을 담은 양식으로 사전 통보해줄 것을 요청했고 북한은 이에 동의한 바 있습니다.
당시 한국 정부는 북한의 댐 방류 조치로 한국 국민들이 사망하자 공식 사과를 요청했고 이에 북한 측은 “뜻하지 않은 인명 피해가 발생한 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관련 기관에서 더 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긴급히 방류할 수밖에 없었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북한의 이번 황강댐의 수문 개방 조치로 인한 한국 측의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한국 통일부 당국자는 “4일 오전 7시 기준 한국 측 임진강 필승교 수위가 2.99미터로 우려할 만한 단계는 아니다”라며 “관련 기관들과 긴밀히 협조해 대응 체계를 철저하게 구축,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군 당국도 현재까지 관련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다만 북한이 추가로 황강댐 수문을 개방할지 여부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김준락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 : 한국 군은 현재 관련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고 실시간으로 유관기관과 상황을 공유하면서 지역 주민들의 피해 예방을 위해서 선제적인 조치와 함께 대비 태세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한국 국방부는 북한이 군 통신선을 통해 댐 방류와 관련해 통보한 바가 없다는 입장도 밝혔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 기상청은 장마전선이 북한과 한반도 중부지방 사이를 남북으로 오가며 오는 5일까지 많은 비를 내리게 할 것으로 예보했습니다.
특히 한국 기상청의 북한단기예보에 따르면 5일까지 북한 황해도, 평안남도, 함경남도 남부 등지에 100~300mm의 비가 내릴 것으로 보입니다. 이 가운데 일부지역에는 500mm 이상의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