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 정부가 김정은 위원장의 '첨단전술무기' 현지지도에 대해 군사분야 현지지도는 1년만이라고 평가하면서 구체적인 사안은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한국 정부는 북한이 밝힌 첨단전술무기를 신형 장사정포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서울의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통일부가 김정은 위원장의 '첨단전술무기' 현지지도에 대해 "구체적인 무기에 대한 언급이 없기 때문에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 통일부 당국자는 16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전술무기라는 표현으로 볼 때 재래식 무기로 추정하고 있다"며 "'첨단'이라는 표현과 관련해서는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정부의 한 소식통은 한국의 연합뉴스에 "첨단전술무기는 신형 장사정포로 추정하고 있다"며 "김정일 시대 때부터 개발중인 무기로 정보 당국에서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있던 사안"이라고 말했습니다.
군의 한 관계자도 "현재 무기체계 개발의 초기 단계가 진행 중인 것으로 보고 있다"며 "이번 현지지도에서 (포탄 등이) 실제 날아간 것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의 군사분야 현지지도는 1년여 만입니다. 이유진 통일부 부대변인은 16일 정례 기자설명회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군사 분야 공개활동은 그동안 간헐적으로 진행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유진 통일부 부대변인: (김정은 위원장의 군사분야 관련) 공개활동은 2017년 11월 29일 화성-15형 시험발사 현지지도가 마지막입니다.
한국 통일부는 김 위원장의 군사분야 현지지도가 재개된 점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평가를 유보했습니다.
다만 한국 군 당국은 이번 김 위원장의 군사분야 현지지도가 대외용 무력시위는 아니라고 평가했습니다.
한국군의 한 관계자는 한국의 연합뉴스에 "북한 매체가 첨단전술무기 시험이라고 공식 발표한 것은 두가지 의미로 분석이 가능하다"며 "'첨단'은 대내용으로 북한 주민들에게 군사 강국을 지향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고 '전술무기'는 대외용 무력시위는 아니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김 위원장이 첨단전술무기를 현지지도한 지역에 대해서는 "신의주 인근 바다가 가까운 지역으로 알고 있다"며 "한미 정보당국은 주요 인사의 동선을 사전에 파악하고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조선중앙통신과 조선중앙방송 등 북한 매체들은 김 위원장이 국방과학원 시험장을 찾아 새로 개발한 첨단전술무기 시험을 지도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날 보도된 김정은 위원장의 발언에는 대남, 대미와 관련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었습니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11월 이후 군사분야에 대한 현지지도는 자제해 왔습니다. 지난 6월 제1524군부대를 시찰한 바 있지만 당시에는 군인들의 식생활 등 후방 사업에 초점을 맞춘 행보였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