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4차 방중 일정 시작…시진핑과 회담

0:00 / 0:00

앵커: 중국을 방문한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갖고 한반도 정세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 보도합니다.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과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이 8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만났습니다.

양국 정상은 1시간 가량 진행된 회담에서 향후 열릴 2차 미북 정상회담에 대비해 의제를 조율하고 북중 수교 70주년을 맞이해 올해 양국 간 교류 확대 방안 등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회담 자리에는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과 리수용 노동당 부위원장 겸 외교부장 등이 배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어 열린 만찬에서는 김 위원장의 부인 리설주 여사가 인민대회당에 도착해 시진핑 주석 부부가 주최한 환영 만찬에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과 관련해 중국 외교부는 중국과 북한이 우방으로서 고위층 교류를 유지하는 것은 양국의 전통적인 우호에서 중요한 부분이라면서 한반도 문제에서 미국과 북한은 핵심적인 당사자로 쌍방이 접촉을 유지하는 것은 도움이 된다고 밝혔습니다.

루캉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기자설명회에서 중국은 줄곧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지키고 한반도 핵 문제의 정치적 해결을 추진하는 데 중요한 동력이었다며 과거 중국이 제안하고 주도한 6자회담 과정은 긍정적 성과를 냈다고 말했습니다.

루캉 대변인은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이 미북 정상회담의 변수가 될 수 있다는 보도가 한국과 미국에서 나온 것과 관련해 중국은 변수가 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또 김 위원장이 베이징을 제외한 중국 내 다른 도시를 방문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소식이 있으면 즉시 발표하겠다"고 답했습니다.

김 위원장의 이번 중국 방문과 관련해 한국 정부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에 기여할 수 있길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한국 청와대는 김 위원장의 방중이 2차 미북 정상회담의 디딤돌이 되길 바란다며 지금 진행 중인 남북·북중·미북 간 각각의 교류가 서로 선순환해서 하나의 발전이 또 다른 관계의 진전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청와대는 또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을 앞두고 사전에 중국과 북한 측과도 정보를 공유해왔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김 위원장의 방중 이후 남북 간 특사교환 또는 고위급회담의 추진 여부에 대해선 "현재로선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국 외교부는 한국과 중국 정부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이라는 전략적 목표를 공유하면서 계속 협조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김 위원장을 태운 북한의 특별열차는 이날 현지시간으로 오전 11시경 중국 베이징에 도착했습니다.

베이징역에는 중국 공산당 정치국의 상무위원급 인사가 김 위원장을 마중 나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조선중앙TV: 습근평(시진핑) 동지의 초청에 의하여 주체 108년, 2019년 1월 7일부터 10일까지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하시게 됩니다.

김 위원장의 방중은 이번이 네 번째입니다. 지난해 3월 열차 편으로 베이징 방문했고 5월에는 랴오닝성 다롄을 찾았습니다.

이어 지난해 6월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을 마치자마자 또다시 베이징을 방문해 시 주석과 회동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