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5월 미북정상회담 성사 소식이 전해지자 일본은 환영의 뜻을 나타내면서도 "전개 속도가 좀 빠르다"며 경계감을 드러냈습니다. 중국은 "미북 양측이 직접 대화에 나섰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긍정적인 신호를 보냈습니다.
자세한 소식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5월 미북정상회담 발표에 일본 정부는 긴장과 당혹감을 드러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국제사회가 고도의 압력을 계속 가한 성과"라고 평가했습니다.
아베 일본 총리: 북한이 비핵화를 전제로 대화를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북한의 변화를 평가합니다.
아베 총리는 이어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고 되돌릴 수 없는 핵폐기를 위해 북한이 구체적 행동을 취할 때까지 최대한 압력을 가해 나간다는 미국과 일본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아베 총리는 4월 중 미국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과 관련 사항의 논의를 하겠다는 뜻도 밝혔습니다.
일본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의 회담 제안을 받아들인 것에 대해 "전개 속도가 좀 빠르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고노 다로 외무상은 "비핵화 의사가 있다는 것은 누구라도 말할 수 있는 것으로 북한이 구체적 행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반면 중국은 "미국과 북한이 직접 대화에 나섰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미북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습니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9일 "남북의 노력을 지지한다"면서 "한반도 핵 문제를 미북 간 대화로 해결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이날 기자설명회에서 "북핵 문제는 계속해서 옳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면서 "각국이 대화와 협력을 통해 문제 해결에 주력하는데 긍정과 지지를 표한다"고 말했습니다.
중국 매체는 이날 미북정상회담에 큰 관심을 두고 관련 내용을 긴급하게 전했습니다. 중국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는 미북정상회담 소식을 "대사건"이라고 표현하며 놀랍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