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외교부, 김정은 방중설에 언급 자제

0:00 / 0:00

앵커: 북한의 최고위급 인사가 중국 베이징을 전격 방문한 가운데 중국 정부는 최고위급 인사가 누구인지 아직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의 경호 수준을 고려했을 때 김정은 노동당위원장일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최고위급 인사가 베이징을 방문한 것과 관련해 중국 정부는 극도로 말을 아끼고 있습니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7일 기자설명회에서도 "아는 바가 없으며 만약 말할 게 있으면 제 때 발표하겠다"고만 말했습니다.

화 대변인은 다만 "북한과 중국은 가까운 이웃이고 양측은 전통 우호관계가 있으며 정상적인 왕래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화 대변인은 6자회담의 재개를 지지한다는 입장도 밝혔습니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 6자회담이 조속히 재개되길 바란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북한 최고위급 인사를 태운 특별열차는 27일 오후 4시 경 베이징역을 떠났습니다. 이 열차에 누가 탑승했는지는 명확히 확인되지 않았지만 베이징 현지에서는 차량과 경호 수준으로 볼 때 김정은 위원장일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일본과 한국의 일부 언론도 이런 정황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일본 산케이신문은 김 위원장이 26일부터 27일까지 중국을 방문했다고 중국 공산당 당국자를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북한 특별열차가 베이징역에 도착한 26일에도 검은색 고급승용차 행렬과 주변에 공안원들이 보였습니다. 당시 베이징역에서 북한 고위급 인사들을 태운 차량은 인민대회당으로 이동했고 3시간 후 중국 영빈관 댜오위타이로 들어갔습니다.

북한 최고위급 인사는 인민대회당에서 중국 지도부와 회동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와 관련해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김정은 위원장이 중국 국가지도자와 3시간 가량 회담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지난 2000년 5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중국 방문 때에는 모든 일정이 끝난 뒤 북중 양측이 관영 선전매체를 통해 방중 사실을 확인한 바 있습니다.

중국 내 대북 소식통들은 이번에도 특별열차가 평양으로 들어간 뒤 북한 최고위층의 중국 방문 소식이 나올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편 단둥의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27일 오후 8시부터 북한 지역에서 대피훈련이 실시됐습니다. 베이징에서 출발한 북한 특별열차가 그 무렵 국경을 통과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