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 정부는 10·4선언 남북 공동행사에 참가한 남측 방북단의 체류 비용과 관련해 대북제재의 틀 안에서 최소한의 비용을 지불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 보도합니다.
한국 통일부는 5일 10·4선언 남북 공동행사에 참가한 남측 방북단의 비용 지급 문제와 관련해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유진 통일부 부대변인: 대북제재 틀 내에서 우리 측 참가인원들의 편의를 위한 교통과 숙박비 그리고 불가피하게 수반되는 최소한의 비용을 북한에 실비로 지급할 예정입니다.
통일부는 정확한 지불금액은 미정이라며 구체적인 집행금액은 사후정산을 통해서 알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북한에서 열리는 남북교류 행사에 한국 정부가 비용을 지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남북 간의 민족 동질성 회복을 위한 사업은 대북제재에 저촉되지 않는다며 유엔의 대북제재에 위반 논란이 생기지 않도록 미국 측과 긴밀한 협의 아래 이번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남북협력기금법에 따라 행사 관련 사전준비 비용을 포함하여 약 25만 달러를 의결했습니다.
통일부는 유엔 대북제재 대상인 만수대창작사 참관 일정과 관련해서도 대북제재에 저촉이 되지 않도록 행사 진행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남북은 이날 오전 평양 인민문화궁전에서 10·4선언 11주년 공동행사를 갖고 오후에는 고위급회담 대표단 협의를 가졌습니다.
협의에서는 평양 공동선언 이행방안과 후속회담 일정이 포괄적으로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구체적인 합의 사항은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남측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협의 뒤 기자들과 만나 정식 회담은 아니지만 고위급회담을 한 것이나 비슷하다면서 분야별로 협의해 나가는 게 시급하다고 말했습니다.
조 장관은 분야별 회담과 관련해 철도와 도로, 산림 부분을 언급했습니다.
10·4선언 공동행사에 참가한 남북 참가자들은 이날 공동호소문도 채택했습니다. 공동호소문의 주요 합의 사항은 4가지로 이뤄져 있습니다.
먼저 남북은 판문점선언과 9월 평양공동선언은 6·15 공동선언과 10·4 선언의 계승이라며 새로운 통일 이정표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모두가 판문점선언과 9월 평양공동선언을 철저히 이행해 평화와 번영, 통일의 새 역사를 써나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호소문은 또 민족의 운명은 스스로 결정하는 새 시대를 전진시켜 나가야 한다며 전쟁 위험을 종식시키고 핵 무기와 핵 위협이 없는 평화의 터전으로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남측에서는 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 방북단 160명이 행사에 참가했으며 북측에선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남측 방북단은 6일 2박3일 간의 평양 일정을 마무리하고 돌아옵니다.
한편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개막을 앞두고 북한 선수단이 입촌식을 갖고 대회 준비에 들어갔습니다.
단장인 정현 조선장애자보호연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을 포함한 북한 선수단 23명은 4일 열린 입촌식에서 5번째로 입장했습니다.
이번 대회는 현지시간으로 6일 저녁 7시에 개막합니다. 개회식에는 남북이 한반도기를 들고 공동 입장하기로 했습니다.
남북은 이번 대회에서 탁구 남자 단체전과 수영 남자 혼계영 종목에서 단일팀을 구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