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미∙중, 북핵∙미사일 영구 폐기까지 대북제재 지속”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오른쪽)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오른쪽)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 PHOTO)

0:00 / 0:00

앵커: 미북 정상회담이 임박한 가운데 미중 양국 정상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이 영구적으로 폐기될 때까지 지금과 같은 대북 제재를 이어간다는 데 뜻을 모았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두번째 중국 방문 사실이 알려진 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시진핑, 즉 습근평 중국 주석과 전화로 북한 문제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양국 정상은 이날 통화에서 북한의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 폐기를 위해 공조하겠다는 뜻을 재확인했습니다.

백악관 측은 통화 후 성명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은 전화 통화에서 북한이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을 영구적으로 폐기할 때까지 대북제재를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동의했다"고 밝혔습니다.

(U.S. President Donald Trump and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agreed in a phone call on Tuesday that it was important to continue sanctions on North Korea over its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until it permanently dismantles them.)

이번 통화는 김 위원장의 깜짝 중국 방문 소식이 전해진 직후 이뤄져 관심을 모았습니다.

7일부터 이틀간 중국 다롄을 방문한 김 위원장은 시 주석을 만나 '단계적∙동시적 비핵화'라는 기존 북한의 입장을 재확인했고, 시 주석은 북한의 한반도 비핵화 의지와 미북 대화를 통한 한반도 문제 해결을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런 가운데 국무부는 미북 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에서 이뤄진 김 위원장의 방중과 미중 정상 간 전화 통화와 관련한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문에 "우리는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해 중국과 공조해왔다"며 "중국은 북한이 영구적이고, 검증가능한 비핵화의 길로 가는 신뢰할만한 협상에 진지하게 임하도록 하는 지렛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We have been working with China on the North Korea problem, as the President has made clear, and we expect that China will use its unique leverage to ensure the DPRK is serious about credible negotiations that lead down the path to the permanent and verifiabl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한편 중국 국영 방송에 따르면, 시 주석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미북 양국이 이번 회담에서 서로 신뢰를 쌓길 희망한다"는 뜻과 함께 "북한이 가질만한 안보 우려를 회담에서 고려해주길 바란다"는 메시지도 전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