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오는 8월 예정된 한미 연합훈련인 UFG, 즉 '을지프리덤가디언' 훈련이 연기될 가능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이러한 한미 연합훈련 중단이 정작 북한 측에 비핵화 압박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이란 지적이 나왔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14일 AFP 통신은 미국 고위 당국자의 말을 인용해 대규모 한미연합훈련이 무기한 중단된다고 보도했습니다.
앞서 미국의 CNN방송도 관계자의 말을 빌어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이르면 14일 UFG연습 중단 방침을 공식 발표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보도하는 등 훈련이 취소될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안보 전문가인 미국 랜드(RAND) 연구소의 브루스 베넷 박사는 한미 연합훈련 중단으로 단기간 내 북한의 비핵화 조치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면서 북한 정권에 큰 압박을 주지는 못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북한이 미북 정상회담 이후 몇 개월 내 가시적인 비핵화 조치를 취할 것으로 미국이 예상했다면 이번 6.12 싱가포르 회담에서 이미 비핵화 시한을 포함한 구체적인 합의문이 나왔을 것이란 게 베넷 박사의 설명입니다.
다만, 미국이 한미 연합훈련을 중단한 것과 같이 북한도 매년 여름 진행하는 대규모 군사훈련을 중단한다면 북한이 미국과 협력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베넷 박사는 덧붙였습니다.
베넷 박사: 이 경우에 군사훈련 중단이 미북 간 맞교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하지만 미국은 계속해서 북한이 보유한 핵무력에 대한 신고(declaration)를 강력히 요구해야 합니다. (I think exercises are the key exchange in this case. But US should still be really insisting on North Korean declaration on nuclear forces.)
그러면서 만약 북한이 군사훈련을 지속하거나 비핵화에 대한 구체적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미국은 다시 강도높은 연합 군사훈련을 재개해야 한다고 베넷 박사는 강조했습니다.
베넷 박사는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미북회담의 결과에 대한 불안감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어떠한 조건도 내걸지 않고 한미 연합훈련 중단을 결정한 것 같다며, 사전 협의 없이 내려진 독단적인 결정이 한국과 같은 동맹국과의 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한편 13일 줄리 비숍 호주 즉, 오스트랄리아 외교장관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한미 연합훈련 중단 발표에 대해 군사적 위협이 경제 제재와 더불어 김 위원장을 협상장으로 불러온 주요 이유라며, 북한이 진정한 비핵화 조치를 보이지 않는 이상 군사훈련을 중단해서는 안된다고 강력히 주장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