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트럼프∙볼턴 서로 다른 리비아 방식 언급”

0:00 / 0:00

앵커: 북한 비핵화 해법과 관련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말한 리비아 방식은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언급해 온 리비아 방식과 다른 것이라고 전문가들이 지적했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17일 백악관에서 "북한을 생각할 때 리비아 방식은 우리가 고려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리비아에서는 우리가 그 나라를 초토화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어 "카다피와는 지킬 합의 없었다"며 "리비아 방식은 (북한과는) 매우 다른 방식"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이 할 수 있는 최선은 비핵화 협상을 타결하는 것이라며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리비아 방식이 재발될 수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 말을 두고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문제삼은 볼턴 보좌관의 리비아 방식을 버리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리비아 방식과 볼튼이 염두에 두고 있다는 리비아 방식은 같은 것이 아니라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미국 브루킹스연구소의 리처드 부시 선임연구원은 1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트럼프 대통령이 말한 리비아 방식은 2011년 미국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가 리비아에 개입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부시 연구원: 트럼프 대통령이 혼동하고 있습니다. 볼턴이 말하는 리비아 방식은 2003년 리비아가 핵 프로그램을 폐기할 때를 말합니다. 대통령의 생각은 2011년 미국과 북대서양조약기구가 개입한 방식입니다. 이것은 비핵화와 상관이 없습니다.

미국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도 이날 사설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리비아가 핵 프로그램을 포기하고 오랜 뒤인 2011년 이른바 '아랍의 봄' 혁명 중 카다피 정권이 붕괴된 것을 언급한 것이고 볼턴 보좌관은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를 목표로 2003년 리비아가 핵 프로그램을 포기한 것을 말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신문은 백악관에서 누군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런 역사를 설명해 줄 것으로 믿는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볼턴 보좌관의 자문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볼턴 보좌관은 지난 4월 미국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2003년, 2004년의 리비아 방식을 염두에 두고 있다"며 "외교를 통해 핵을 포기한 리비아의 결정은 북한이 핵을 포기하도록 하는 노력의 본보기"라고 말했습니다.

부시 연구원은 볼턴 보좌관이 2003년 당시 국무부 고위 관리로 리비아와 핵 협상에 관여했기 때문에 리비아 방식이 무엇인지 잘 알고 있다며 문제는 북한이 트럼프 대통령처럼 리비아 방식을 오해하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에반스 리비어 전 국무부 수석 부차관보도 1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볼턴 보좌관이 말하는 리비아 방식은 지도자를 죽이는 것이 아니라 핵 폐기에 대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리비어 전 수석 부차관보: 볼턴의 리비아 방식은 단기간에 핵프로그램 개발을 포기하고 핵물질을 제 3국에 넘기는 것입니다. 지도자를 죽이는 것이 아닙니다.

그는 협상이 안되면 카다피가 죽고 초토화된 리비아 방식이 될 수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은 북한을 향해 비핵화에 협력하면 밝은 미래가 있고 그렇지 않고 핵개발을 계속하면 미국은 이를 용납할 수 없어 군사적 대안도 가능하다는 미국 정부의 일관된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미국 과학국제안보연구소(ISIS)의 데이비드 올브라이트 소장은 1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트럼프 대통령이 리비아 방식을 대북 경고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영리한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올브라이트 소장: 완전 초토화(total decimation)는 김정은 위원장이 들어야 할 메시지입니다. 트럼프는 이 메시지를 전달한 최고의 대통령입니다. 우리는 국제 사회의 해적국가인 북한이 핵무기를 보유하는 것을 용납할 수 없습니다.

반면, 미국 애틀란틱카운슬(Atlantic Council)의 로버트 매닝 선임연구원은 북한이 전통적으로 위협을 받으면 더 나쁘게 반응해왔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카다피 정권이 붕괴된 2011년 리비아 방식으로 북한을 위협하는 것은 미북 정상회담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우려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