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합참의장 지명자, 북 대비 첨단 미사일방어체계 개발

0:00 / 0:00

앵커: 미국 차기 합참의장 지명자인 마크 밀리(Mark Milley) 미국 육군참모총장은 북한의 미사일 공격에 대비해 미국 최신예 전투기 F-35에 사용되는 첨단 탐지기능을 기존 미사일 방어체계에 도입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밀리 합참의장 지명자는 11일 미국 상원 군사위원회에서 열린 인사 청문회에 앞서 제출한 서면 답변서에서 북한의 미사일 공격에 대한 방어능력 향상을 위해 미국 국방부는 일본 해상자위대 소속 이지스(Aegis)함처럼 동맹들의 미사일방어체계를 통합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밀리 지명자는 이어 미국의 최신예 스텔스, 즉 레이더 감지 은폐 전투기인 F-35에서 사용되는 첨단 탐지기능을 기존 미사일 방어체계에게 도입하고 있는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Department of Defense is adapting existing and emerging capabilities, such as integrating the F35 Lightning II sensor systems into missile defense.)

스텔스 전투기 F-35에 사용되는 첨단 탐지기능은 '전자-광학 감지체계'(Electro-Optical Sensor System, EOSS)로 불리는데 장거리 지상 목표를 탐지, 포착, 추적할 때 어떤 전파나 신호도 발생시키지 않아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 공격하면서도 적의 감시망이나 경보체계를 무력화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는 이처럼 미사일 방어체계의 탐지기능을 강화하는 것은 미국 지상배치 미사일방어체계(GMD)의 미사일 요격기 수를 기존 44개에서 64개로 늘리는 것과 함께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공격 위협을 다루는 데 적합한 조치라고 평가했습니다.

밀리 지명자는 또 한미 간 군사동맹은 동북아시아에 대한 미국 안보틀의 핵심 기둥(core pillar) 이라며 1953년 한국전쟁 이후 북한 위협을 성공적으로 억지해왔고 지역 내 한국, 일본, 중국 간 잠재적 긴장을 관리하는 데 큰 역할을 해왔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이날 청문회에서 아시아에는 유럽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와 같은 집단적 안보가 아니라 일본, 한국, 호주 즉 오스트랄리아 등과 양자동맹을 통해 안보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밀리 지명자: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동맹 및 동반자국가들 간의 네트워크가 미국 안보와 더 나아가 이 지역과 전 세계에서 미국의 이익을 증진하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I think the network of allies and partners in the Asia Pacific region is critical to U.S. national security and furthering our interest in the region and in the globe)

아울러 그는 주한미군의 군사훈련과 관련해 대대급 이하 부대들은 지금까지 훈련을 멈춘 적이 없다며 주한미군의 군사 대비태세에는 어떠한 문제도 없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