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국무부가 최근 새롭게 정비한 북한 담당 부서는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북핵 협상을 대비하기 위한 것이란 전문가의 분석이 나왔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달 23일 스티븐 비건 미국 포드자동차 부회장이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Special Representative for North Korea)로 임명된 데 이어 지난달 29일 마크 내퍼 전 주한 미국대사 대리가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동아태) 부서 내 한국∙일본 담당 부차관보 대행(Acting Deputy Assistant Secretary)으로 임명됐습니다.
조셉 윤 전임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한국∙일본 담당 부차관보를 겸직했는데 이번에는 이를 분리해 비건 신임 특별대표가 대북 정책 업무에만 집중하도록 한 것입니다.
국무부의 한 관계자는 지난 4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국무부 한국과장이었던 마크 램버트가 현재 동아태 담당 부차관보 대행으로 북한 정책을 맡고 있고, 같은 부서의 알렉스 웡 부차관보도 북한 관련 업무를 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에반스 리비어 전 미국 국무부 동아태 담당 수석 부차관보는 5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램버트 전 한국과장은 사실상 부차관보급으로 비건 신임 특별대표를 위해 일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러한 재정비는 국무부가 대북 정책에 특별히 집중하려는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리비어 전 부차관보: 조셉 윤 전 특별대표가 은퇴한 후 공석이 된 자리를 채우고 있는 것입니다. 국무부가 북한 정책에 특별히 집중하겠다는 것으로 바람직한 일입니다.
그는 윤 전 특별대표가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재임시절 국무부의 대북 정책이 백악관으로부터 무시된 것이 은퇴 이유라고 밝힌 것과 관련해 그 말에 동의한다며 렉스 틸러슨 전 국무장관 시절 백악관과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북한 정책과 관련해 국무부를 의지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취임 후 폼페이오 장관이 북한 정책을 주도하고 있다며 국무장관의 역할이 커진만큼 대북정책에 있어서 국무부의 역할도 커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그러나 대북 정책은 결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새로 정비된 국무부 내 북한 부서가 얼마나 큰 힘을 발휘할 지는 두고볼 일이라고 리비어 전 차관보는 말했습니다.
게리 새모어 전 백악관 대량살상무기 정책조정관도 5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국무부의 이번 재정비는 장기화될 것으로 보이는 북핵 협상을 앞두고 북한 부서에 힘을 실어주는 긍정적인 조치라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려고 하지 않기 때문에 국무부 대북부서는 북한과 매우 길고 어려운 협상을 하게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