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국방부는 내년에도 북한의 불법 해상환적 단속 등 유엔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의 완전하고 엄격한 이행을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캐나다와 호주(오스트랄리아)도 북한의 불법 해상환적 단속 의지를 밝혔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국방부의 존 서플 대변인은 18일 북한의 불법 해상환적 단속에 대한 내년 계획을 묻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의에 대해 북한을 겨냥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들의 완전한 이행(implementation)과 엄격한 집행(enforcement)을 분명히 하려는 국제사회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서플 대변인은 이어 미국은 국제사회와 함께 유엔 안보리 결의들의 완전한 이행 및 엄격한 집행을 위해 협력할 것이라면서 미 국방부는 이를 위한 지원 제공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We are working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ensure the full implementation and strict enforcement of North Korea-related UNSCRs. The Department of Defense continues to provide support to UNSCR enforcement efforts.)
그러면서 보안상의 이유로 구체적인 내년 작전 내용은 공개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캐나다 국방부 대변인실도 1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캐나다는 올해 '네온 작전'(Op NEON)으로 명명된 대북제재 위반 감시 군사 활동을 위해 해군 함정과 정찰비행기를 정기적으로 역내에 파견했다고 밝혔습니다.
대변인실은 그러한 예로 지난 9월부터 12월 초까지 캐나다 해군 호위함인 위니펙(Winnipeg)함과 CP-140 오로라 해상초계기를 북한 선박의 불법해상 환적 감시를 위해 파견했다고 소개했습니다.
그러면서 캐나다의 대북제재 위반 감시활동은 내년초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호주, 즉 오스트랄리아 국방부 대변인실도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호주는 '아르고스(ARGOS) 작전'으로 명명된 대북제재 위반 감시군사활동을 지속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2018년 이후 해군함정 4차례, 해군정찰항공기 7차례를 파견했다고 밝혔습니다.
대변인실은 북한의 유엔제재 회피가 지속되고 있다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 위원회 전문가단의 보고에 우려한다며 호주는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가 집행되도록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동안 미국, 뉴질랜드, 일본, 영국, 캐나다, 프랑스, 호주 등 7개국은 북한의 유엔제재 회피를 단속하기 위해 호위함이나 초계기 등 정찰 자산을 파견해 개별적인 군사 작전이나 다국적 공조를 하고 있습니다.
지난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유엔 대북제재위 전문가단에서 해상 전문가로 활동했던 닐 와츠(Neil Watts) 전 위원은1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이들 국가들의 불법 해상환적 감시는 북한의 제재회피 활동을 드러내게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닐 와츠 전 위원: 그들은 북한의 불법 해상환적 활동을 찾아내 어떤 물품이 북한으로 밀수되는지, 관련 선박이 불법환적 후 어디로 가는지 등의 정보를 밝혀내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와츠 전 위원은 일본 외교부 웹사이트에는 이들 국가들이 적발한 북한의 불법 해상환적 관련 사진들이 올라와 있다며 이 정보들은 유엔 대북제재위 전문가단 뿐 아니라 국제언론, 불법환적과 연루된 외국선박 정부들에 전달돼 여러 차원에서 조치가 취해지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