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국무부의 스티븐 비건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북한의 최종적 비핵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의 포괄적 신고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비건 대표는 31일 미국 서부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가진 강연회에서 북한 측과 앞으로의 회동에서플루토늄 재처리와 우라늄 농축 시설의 폐기에 상응하는 미국의 조치에 관해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비건 대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동창리 미사일 시설과 풍계리 핵실험장(폐쇄)에 대한 약속 이외에도 북한의 플루토늄(재처리)과 우라늄 농축 시설을 폐쇄하고 파괴하겠다는 약속을 했습니다. 평양공동선언문에서 그리고 지난해 10월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평양 방문 시 두 차례에 걸쳐 말입니다.
(In addition to the commitment on Dongchang-ri and Punggye-ri, Chairman Kim also committed in both the joint statement in the aforementioned PY summit as well as during Sec. of State's October meetings in PY, the dismantlement and destruction of NK's plutonium and uranium enrichment facilities.)
비건 대표는 김정은 위원장이 지난해 9월 3차 남북 정상회담에서 동창리의 완전한 폐쇄와 파괴를 검증하기 위한국제사찰단을 받아 들이겠다고 약속한 데 이어, 지난 10월 평양을 방문한 폼페이오 장관에게 풍계리의 완전한 파괴를 확인하기 위한 미국 전문가단을 초청하겠다고 밝혔다고 말했습니다.
비건 대표는 이 두 시설이 현재의 북한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에서 매우 중요한(critical) 부분은 아니더라도, 지난10년 동안 국제 사찰단의 어떤 접근도 이뤄지지 않은 것을 고려하면 김 위원장의 이 같은 약속은 미북 양국이 비핵화 과정에 대한 신뢰 구축 조치를 위해 협력해 나가는 올바른 방향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비건 대표는 김 위원장이 요구한 플루토늄 재처리 시설과 우라늄농축시설의 폐기와 파괴에 상응하는 미국의 조치를 북한과의 향후 회담들에서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비건 대표: 미국은 양국 간 신뢰를 구축하는 것과 동시에 새로운 관계를 수립하고 한반도의 영구적인 평화 구축, 완전한 비핵화라는 싱가포르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목표를 진전시키는데 도움이 될 많은 행동을 할 준비가 되어있습니다.
비건 대표는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서는 이들 시설 폐기 이외에도 더 많은 조치가 필요한데 북한은 추가로 조치를취하겠다는 약속을 했다고 강조했습니다.
비건 대표: 비핵화 과정이 최종적이 것이 되려면, 우리는 북한의 대량살상무기와 미사일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범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우리는 어느 시점에서는 포괄적인 신고를 통해 그걸 알 수 있게 될 것입니다.
(Before the process of denuclearization can be final, we must also have a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full extent of North Korean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missile programs. We will get that at some point through a comprehensive declaration.)
비건 대표는 실무협상에서 미국과 북한은 주요 핵과 미사일 시설에 대한 전문가의 접근과 모니터링 메커니즘 즉감시체계에 관한 로드맵 즉 청사진에 반드시 합의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비건 대표는 또 궁극적으로는 북한이 보유한 핵물질, 핵무기, 미사일, 발사대와 다른 대량살상무기를 반드시 제거하고 파괴하는 것도 합의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협상단과 북한 측에 2차 정상회담에서는 중요하고 검증가능한 진전을 기대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강조했습니다.
비건 대표: 트럼프 대통령은 또 김 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의 완전한 비핵화 약속을 이행한다면 미국은 지금까지가능하다고 생각한 어떤 것보다도 더 많은 보상을 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And President Trump has made clear that should North Korea follow through on Chairman Kim's commitment to complete denuclearization, the United States will in return exceed anything previously thought possible.)
비건 대표는 그러면서 미국은 대북 외교적 노력이 실패할 경우에 대비한 '대응책(contingencies)'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미국 국무부는 31일 성명을 통해 비건 대표가 오는 3일(2월 3일) 한국을 방문해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만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비건 대표는 이어 북한 측 비핵화 대화 상대와 만나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FFVD)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음 조치와 싱가포르 회담에서 이뤄진 미북 정상의 모든 약속 사항을 진척시키기 위한 단계를 논의할 것이라고 성명은 덧붙였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