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 대표, 북 사이버 공격도 의제로 다뤄야”

민주주의수호재단이 5일 개최한 사이버 관련 행사.
민주주의수호재단이 5일 개최한 사이버 관련 행사. (RFA PHOTO/양희정)

0:00 / 0:00

앵커: 북한과 2차 미북 정상회담 의제 조율에 나선 미국 국무부의 스티븐 비건 대북 특별대표는 북한의 사이버 위협도 의제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는 미국 전문가의 지적이 나왔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미국 워싱턴의 정책연구소 민주주의수호재단(FDD)의 설립자인 클리포드 메이(Clifford May) 이사장(Founder and President)은 5일 이 재단이 개최한 '사이버 공격' 관련 토론회에서 발전하는 북한의 사이버 능력이 미국의 정치력과 군사력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메이 이사장: 아직까지 미국에 대한 조직적으로 만연하며 지속적인 사이버 공격은 없었습니다. (그러나) 미국의 댄 코츠 국가정보국장이 지난달 말 (미국 상원정보위원회에서) 중국, 러시아, 북한, 이란이 사이버 능력을 진전시키고 있다고 증언했습니다.

북한 등 미국에 적대적인 이들 국가들이 비교적 적은 비용을 들여 위협의 강도와 범위를 넓히고 있다고 메이 이사장은 설명했습니다.

이 재단의 북한전문가 매튜 하 연구원은 북한과 실무협상에 나선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북한과의 협상에 있어 사이버 문제도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매튜 하 연구원: 북한 위협은 핵 문제만이 아닙니다. 코츠 국장이 상원 정보위원회에 제출한 '전 세계 위협 평가' 보고서에서 지적한 사이버 위협도 북한의 수 많은 문제 중 하나로 대북 협상에서 다뤄야 합니다.

매튜 하 연구원은 이날 토론회 이후 자유아시아방송(RFA)과 만나 이같이 밝혔습니다.

하 연구원은 북한의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FFVD)가 비건 대표가 나선 협상의 가장 중요한 목표인 것임엔 틀림없지만 북한의 점증하는 사이버 위협도 대북 협상에서 하나의 레버리지 즉 지렛대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매튜 하 연구원: 최근 미국 법무부는 북한의 악성코드 공격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공개하고 법적 조치도 취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북한이 불법적인 사이버공격을 하면 책임을 묻겠다는 것입니다.

앞서 미국 법무부는 지난달 말 북한 해커가 악성 사이버 활동을 위해 사용하는 '조냅 보트넷'(the Joanap botnet) 원격접속도구 악성코드 등을 밝혀내고 이를 차단하기 위해 광범위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성명을 통해 밝혔습니다.

미국 법무부는 지난해 9월 북한 해커 박진혁을 기소했는데 그가 사용한 '조넵 보트넷'과 '브램블' 악성코드를 추적해 밝히고 북한의 혐의가 있으면 추가 법적 절차를 밟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입니다.

매튜 하 연구원은 미북 비핵화 협상에서 핵 문제뿐 아니라 미국의 금융기관 등에 대한 북한의 사이버 공격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이 2013년 3월 한국의 방송·금융사 컴퓨터 3만 여대에 악성코드를 심어 전산망을 마비시켰는데, 5년 가까이 지난 현재 북한의 사이버 공격 능력이 더욱 강화돼 더 큰 피해를 볼 수 있다는 것이 매튜 하 연구원의 지적입니다.

민주주의수호재단은 지난해 10월 발표한 보고서 '김정은의 다용도 칼: 사이버 능력을 기반으로 한 북한의 경제전쟁(Kim Jong Un's All-Purpose Sword: North Korean Cyber-Enabled Economic Warfare)'에서 북한의 사이버전 역량과 북한이 자행한 사이버 공격을 상세히 밝히고 미국과 한국이 공동으로 북한의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는 합동 전략을 개발해야 한다고 제안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