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상원의원들 “미북대화 전 ‘북 비핵화’ 조치 촉구”

0:00 / 0:00

앵커: 미국 상원의원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미북대화 제의를 수락한 데 대해 회담에 앞선 북한의 구체적인 비핵화 조치를 재차 강조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미국의 코리 가드너 상원의원은 지난 11일 미국 CBS 방송(Face the Nation)에 출연해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대화 제의 수락 의사를 밝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북 압박을 강화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가드너 상원의원: 미북 정상회담이 열리기 전에 우리가 더 들어야 할 이야기는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구체적이고 검증 가능한 조치를 어떻게 달성하느냐 하는 것입니다.

가드너 의원은 1994년 제네바 합의부터 2005년9·19공동성명 등 북한은 수 차례 북핵 관련 약속을 파기했다고 지적하며 북한의 핵과 미사일 실험 중단이 아닌 보다 구체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가드너 의원은 북한은 실험을 하지 않고도 컴퓨터 모델 등을 이용해 핵무기와 미사일 프로그램의 진전을 이룰 수 있다며, 미북 정상회담 이전에 북한은 수십 년 전 이미 합의한 내용을 이행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론 존슨(Ron Johnson) 상원의원도 이날 CNN방송에 출연해 미국이 북한과의 정상회담을 준비하는 과정에서도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대북 압박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존슨 의원: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를 위해 대북 압박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요구했습니다.

제프 플레이크 상원의원도 미국 NBC방송(Meet the Press)에서 북한이 진정으로 비핵화 준비를 했다고 믿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그러면서 미북 정상회담 전에 수 십 차례의 고위급 회담 등 외교적 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플레이크 의원: 사전 준비가 없이(unless you put the groundwork yet) 북한 지도자와 만남으로서 북한에 승리를 안겨줘서는 안 됩니다.

한편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도 CNN과의 인터뷰에서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미국 대통령과 회담하는 것은 '북한에 큰 상'이 될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이용당할까봐 우려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