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동창리에서 로켓엔진 시험 가능…2차 회담 전 재건 착수”

0:00 / 0:00

앵커: 최근 북한이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을 재건하고 있다는 의혹이 불거진 가운데, 동창리 발사장 재건이 북한의 또 다른 미사일 도발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전문가 지적이 나왔습니다. 다만, 북한이 대미 압박 신호의 일환으로 로켓 추진체 시험을 단행할 가능성은 열려있다는 분석입니다. 지예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의 북한 전문 웹사이트 ‘38노스’를 운영하는 조엘 위트(Joel Wit) 스팀슨센터 수석연구원은 6일 북한의 동창리 발사장 재건 움직임이 북한의 미사일 발사시험이 임박했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강조했습니다.

위트 수석연구원은 이날 미국 워싱턴 DC에서 스팀슨센터가 “하노이 정상회담: 함의와 기회”(The Hanoi Summit: Implications and Opportunities)를 주제로 개최한 전문가 토론회에서 동창리 발사장은 기본적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시험하는 시설이 아니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이어 동창리 발사장에서 실질적인 시험발사가 이루어지기까지 준비 기간이 2주 정도 소요된다며, 북한이 이러한 과정을 시작하는 단계일 수도 있겠지만 반대로 언제든지 중단할 수도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이 동창리 발사장 재건 작업에 착수한 것은 전혀 놀라운 사실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위트 수석연구원 : 북한의 관점에서 동창리 발사장 해체와 풍계리 핵시설의 부분적 폐기는 그들의 의무를 넘어서는 수준입니다. 북한은 실질적으로 조치를 취하기 이전에 합의가 이루어지길 기다립니다. (I think that from the North Korean perspective, their dismantling, starting to dismantle this facility and also their partial destruction of Punggye-ri nuclear test site was above and beyond their duty. They don't do that kind of things really. They wait for the deal before they do that.)

다만, 그는 현재 동창리 발사장에서 재건되고 있는 시설 중 하나가 로켓 추진체 시험 시설이라면서, 북한이 로켓 추진체 시험을 단행함으로써 대미 압박 신호를 보낼 가능성은 배제하지 않았습니다.

동창리 발사장 재건이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에서 흥정(bargaining)을 하는 과정인지, 혹은 발사장 해체 약속을 번복하기로 내부적으로 결정이 내려진 것인지는 아직 확실치 않지만, 북한이 지지부진한 비핵화 협상 속도를 올리기 위한 ‘지름길’(short cut)로 재건을 택할 수 있다는게 그의 설명입니다.

그러면서 그는 자신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라면 동창리 발사장 재건 작업을 마치고 로켓 추진체 실험도 단행하는 동시에 중국, 러시아 등 주변국과의 긴밀한 협의 속에서 미국에 3차 정상회담을 제안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제니 타운(Jenny Town) 스팀슨센터 연구원은 이날 북한의 동창리 발사장 재건 움직임이 시작된 구체적인 시점에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문에 대해, 지난달 16일자 위성사진에서 재건을 위한 설비(equipment)가 포착되기 시작했다면서 이 시설의 재건은 사실상 2차 미북 하노이 정상회담 이전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의 이러한 일방적인 조치는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에서 자신들이 원하는 바를 얻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