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달부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의 새로운 의장국이 된 스위스가 북한의 미사일 시험 등과 관련한 위원회 조치에 대해 이달 중 올해 첫 보고에 나설 예정입니다. 조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대북제재위원회(1718위원회) 신임 의장인 유엔 주재 스위스 대표부의 파스칼 크리스틴 베리스빌(Pascale Christine Baeriswyl) 대사는 2월 중 북한 당국의 최근 활동에 대한 위원회 조치를 정리한 ‘90일 보고서’(90-day report)에 대해 안보리 회원국들에 설명할 예정입니다.
유엔 안보리 관련 기구들의 활동에 관한 정보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비영리 독립조직 ‘안보리 리포트’(SCR∙Security Council Report)는 지난달 31일 ‘2월 전망 보고서’(February 2023 Monthly Forecast-North Korea)를 공개하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달 내 비공개로 진행되는 안보리 회의에서는 대북제재위원회 산하 전문가단의 최종보고서 작성 상황과 최근 유엔 회원국들의 대북제재 결의를 이행한 내역이 다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제재위 산하 전문가단의 최종보고서는 3월에 안보리에 보고될 예정입니다.
대북제재위는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미국, 영국, 프랑스, 영국, 러시아)과 임기 2년의 10개 비상임이사국으로 구성돼 있으며 의장국은 비상임이사국 가운데 한 곳이 맡아왔습니다.
지난해까지는 노르웨이가 의장국이었으며, 신임 의장국인 스위스는 지난달부터 일본과 몰타, 모잠비크, 에콰도르 등과 함께 내년 말까지 2년 임기의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스위스가 새롭게 대북제재위 의장국이 되면서 안보리 내 북한 문제 처리에 변화가 있을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2002년 유엔에 가입한 스위스는 그동안 국제 문제에 대해 중립 정책을 펼쳐왔으나 북한 문제에 대해서 만큼은 목소리를 높여왔기 때문입니다.
실제 스위스는 북한이 연이어 탄도미사일를 시험 발사했던 지난해 11월 미국과 한국 등 유엔 회원국들과 공동으로 두 차례 기자회견을 열어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강력히 규탄하고 북한에 완전한 유엔 안보리 결의 이행을 촉구했습니다.
베리스빌 대사도 지난해 12월 일본 교도통신과 인터뷰에서 “스위스 정부는 북한의 행동을 비난하는 데 목소리를 높여왔다”며 “북한이 핵과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결의를 준수하도록 열심히 일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그는 지난해 상임이사국인 러시아와 중국이 안보리 대북 결의안 채택에 거부권을 행사한 것과 관련해 안보리 내 분열을 인정하면서도 “스위스는 양측의 입장에 귀를 기울이고 공통 분모를 찾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안보리 리포트는 미국이 지난해 12월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는 유엔 안보리 의장성명 초안을 이사국과 공유한 것과 관련해 “추가 초안은 회람되지 않았으며 추가 협상도 예정되어 있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기자 조진우,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