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백악관은 한미 연합훈련 등을 비판한 북한의 담화와 관련해, 연합훈련이 도발이라는 생각을 거부한다며 북한에 대화를 재차 촉구했습니다. 지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우리는 역내에서 협력국들과 함께하는 연합훈련이 도발이 된다는 생각을 거부한다”고 밝혔습니다. (We reject the notion that our joint exercises with partners in the region serve as any sort of provocation.)
대변인은 한미 연합야외기동훈련 등을 비판한 북한 외무성 대변인 담화 관련 논평 요청에 이같이 답했습니다.
대변인은 이러한 연합훈련이 “이전 연습과 전적으로 일치하는 정례적 훈련”이라며 “미국은 역내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기 위해 동맹국, 협력국들과 계속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These are routine exercises fully consistent with past practice. The United States is continuing to work closely with allies and partners to ensure peace and stability in the region.)
이어 “우리는 북한에 대한 적대적 의도가 없으며, 양국 및 역내 다양한 우려 사안을 다루기 위해 진지하고 지속적인 외교를 추구한다는 점을 분명히 해왔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We have made clear we have no hostile intent toward the DPRK and seek serious and sustained diplomacy to address the full range of issues of concern to both countries and the region.)
그러면서 “우리는 이러한 외교가 양국과 지역에 가장 도움이 될 것이라 믿으며, 북한 대표단이 편한 시간과 장소에서 만날 수 있다는 우리의 의지를 재차 강조한다”고 말했습니다. (We believe such diplomacy would best serve both countries and the region, and reiterate our willingness to meet with DPRK representative at a time and place convenient for them.)
대변인은 또 “우리는 국제 사회의 의지를 보여주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완전히 이행하고, 불법 무기 프로그램을 개발해 역내 안정을 위협하려는 북한의 역량을 제한하기 위해 동맹국 및 협력국과 계속 협력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At the same time, we will continue to work with allies and partners to fully enforc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that reflect the will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o limit the DPRK’s ability to advance its unlawful weapons programs and threaten regional stability.)
앞서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2일(현지시간)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한미 확장억제수단 운용연습(DSC TTX)과 한미 연합야외기동훈련 등에 대해 “전면대결의 도화선에 불을 지피려 하는 것”이라며 “미국이 적대시 정책과 대결 노선을 추구하는 한 미국과의 그 어떤 접촉과 대화에도 흥미가 없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정부는 북한과 러시아의 무기 거래 사실을 재차 강조하고 관련 제재 조치를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1일 “러시아의 군산복합체가 러시아에 군수물자를 재공급하는 것이 더 어려워졌다”며 “이는 러시아가 이란, 북한 등 악질적인 공급자에 의존하게 만들었다”고 지적했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이날 미국 재무부가 러시아 회사에 첨단 기술 장비 등을 공급한 개인 및 단체 22곳을 추가 제재한 데 대해 이같은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그러면서 “러시아가 미국의 제재를 회피하기 위해 대리인을 이용하는 것은 제재가 효과적이라는 점을 보여준다”며 이러한 조치는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국무부 대변인은 1일 한국 쌍방울 그룹 김성태 전 회장의 대북 송금 혐의에 대해 미국 당국이 조사에 착수할 가능성이 있는지 묻는 자유아시아방송(RFA) 질의에 “한국 당국의 수사를 인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현 시점에서 추가로 공유할 정보는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We are aware of the investigation by South Korean authorities. We have no additional information to share at this time.)
김 전 회장은 최근 한국 검찰 조사에서 지난 2019년 북한에 총 미화 800만 달러를 전달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기자 지정은,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