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G7, 주요 7개국이 러시아에 군사 지원을 한 국가들에 대한 제재를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미국 재무부가 추가 제재 조치를 위한 논의를 가졌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을 비롯한 G7 국가들이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1년이 되는 이달 24일을 앞두고 러시아에 군사 지원을 한 북한, 중국, 이란 등에 대한 제재를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G7 국가에는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가 포함됩니다.
이런 가운데 미 재무부는 10일 보도자료를 통해 러시아 군사 지원 관련 국가들에 제재를 위한 전문가 토론회를 가졌다고 밝혔습니다.
윌리 아데예모 재무부 부장관은 이날 제재 및 외교 정책 전문가단을 소집해 그 동안 전 세계 30여개국에서 이행한 대러시아 제재에 대해 평가하고, 향후 제재 조치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아데예모 부장관은 향후 수주, 수개월 동안 러시아군에 필요한 물자를 지원하는 조력자와 제3국 공급자를 대상으로 러시아 제재회피 대응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따라 재무부가 그 동안 러시아에 포탄 등 무기를 지원한 북한 당국에 추가 제재를 가할지 주목됩니다.
최근 미 정부는 증거 사진까지 공개하며, 북한이 러시아 용병업체 와그너 그룹에 무기를 전달했다며, 와그너 그룹을 비롯해 러시아에 군사적 지원을 한 개인 및 업체들에 대한 추가 제재를 단행했습니다.
아데예모 부장관은 지난 1년 동안 러시아 제재를 통한 경제적 제한을 통해 러시아군의 공급망을 통제하고, 전쟁 능력을 저하시키는 한편 전쟁 자금 조달을 막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소개했습니다.
미국 국무부는 미 정부의 러시아 군사지원 관련 대북제재에 대한 10일 자유아시아방송(RFA) 논평 요청에 “우리는 제재를 예고하지 않는다”며 즉답을 피했습니다.
국무부 대변인은 “우리는 지난 11개월 간 동맹국, 협력 대상국 등과 함께 러시아에 대한 광범위한 제재와 수출통제를 이행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며 “이러한 조치는 러시아의 전쟁 수행 능력을 저하시켰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러시아에 대한 압박을 높이기 위해 계속해서 추가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국무부는 “러시아군이 군수물품 공급에 점점 어려움을 겪으면서 북한, 이란과 같은 비도덕적 공급자에 의존하게 됐다”며 “미국의 제재를 회피하기 위해 북한, 이란을 이용한다는 건 러시아에 대한 제재가 효과를 발휘한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미 연구기관 '로그스테이츠 프로젝트'의 해리 카지아니스 대표는 1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미국은 북한이 러시아의 전쟁을 돕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제재 수단을 동원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카지아니스 대표는 “문제는 이러한 제재의 효과 여부”라며 “러시아와 북한이 철도로 직접 연결돼 있기 대문에 지원물품이 유입되는 걸 막기 위해 미국이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또 “미국은 지난 몇 년간 북한에 비효율적인 제재를 해왔다”며 “대북제재의 실효성을 찾기 어렵다”고 평가했습니다.
기자 김소영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