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지속되는 가운데 한국, 미국, 일본의 외교차관은 북한의 안보위협에 대한 3국 간 공조와 조율을 더욱 강화하기로 약속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자민 앤더슨 기자가 보도합니다.
13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일 외교차관 회담.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 조현동 한국 외교부 제1차관, 모리 다케오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은 이날 회담에서 북한 문제에 대한 3국 간 공조를 재확인했습니다.
셔먼 부장관은 회담이 끝난 뒤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지난해 전례없는 횟수의 탄도미사일 발사로 이웃 국가들과 세계를 위협했다고 지적하며, 한미일 3국 정부의 목표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임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셔먼 부장관 : 3국 정부는 북한의 안보 저해 행위에 대한 대응의 필요성과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에 다시 공감했습니다. 한미일 3국은 단결해 북한을 저지하고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른 의무를 준수하기를 촉구할 것입니다.
조현동 한국 외교부 제1차관은 북한 문제를 제일 먼저 언급하며, 북한의 위협에 대응해 굳건한 한미 연합 방위 태세를 강화하는 동시에 미국, 일본과의 3국 안보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북한에 대해 3국이 논의한 구체적 공조 방안을 묻는 질문에 3국 간 실시간 북한 미사일 정보 공유 체계를 예로 들었습니다.
조 제 1차관:한미일 세 정상은 이미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에 대응해, 북한의 미사일에 대한 실시간 정보 공유를 발전시키는 것을 포함한 3자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에 대해 세부적으로 논의했으며, 우리의 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계속해서 논의할 것입니다.
조 제1차관은 이어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에 활용되는 수입원을 차단할 것이라며 지난 10일 한국 정부가 처음으로 사이버 분야에 대북 독자제재 조치를 발표한 것을 거론했습니다.
다케오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은 특히 북한이 올해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혔다는 점을 지적하며, 국제사회의 공동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날 한미일 외교차관은 북한과의 대화에 열려 있다는 점을 거듭 밝히며, 북한이 비핵화 회담에 복귀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기자 자민 앤더슨,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