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이 처음으로 잠수함발사순항미사일(SLCM) 발사에 성공했다고 주장한 가운데, 북한의 잠수함미사일발사 준비과정을 사전에 탐지하기는 매우 어려운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향후 북한이 고도화된 잠수함발사미사일을 발사한다면 한미당국의 탐지 및 요격이 더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박재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노동신문은 13일 하루 전인 12일 새벽 잠수함 ‘8·24영웅함’이 동해 경포만 수역에서 2기의 전략순항미사일을 발사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노동신문은 “8.24영웅함이 조선동해 경포만수역에서 2기의 전략순항미사일을 발사했다”며 “발사된 2기의 전략순항미사일은 동해에 설정된 1,500km 계선의 거리를 모의한 ‘8’자형 비행궤도를 2시간6분3초∼2시간6분15초간 비행해 표적을 명중 타격했다”고 전했습니다.
순항미사일은 발사 후 저고도를 비행하며 궤도를 바꿔 요격망을 피할 수 있는 전략무기로 잠수함발사미사일로 발사시에는 탐지가 어려워 더 위협적입니다.
이런 가운데 자유아시아방송이 미국 상업위성 ‘플래닛 랩스(Planet Labs)’로부터 입수한 3월 8일, 9일, 13일(사진)자 신포 조선소(잠수함 출항지로 추정)의 위성사진 상에서 특이 동향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지난 10일부터 12일까지는 남포항 일대가 구름이 많이 껴 위성사진 촬영 자체가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었습니다.
앞서 지난 3일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가 공개한 신포 조선소 위성 사진(2월23일자)에도 별다른 움직임은 없었습니다.
통상 잠수함 미사일 발사 준비는 수개월 전에도 가능하지만, 현재 북한의 기술로는 어렵다는 평가입니다.

미 랜드연구소(Rand) 브루스 베넷(Bruce Bennett) 선임연구원은 13일 자유아시아방송과 통화에서 “미국 잠수함은 수개월 동안 잠수를 한 뒤 발사 시험을 할 수 있지만 현재 북한 기술로는 제한된다”고 말했습니다.
베넷 연구원 : 북한의 경우라면 몇달이 아니라 최대 길어야 일주 전부터 준비가 가능했을 것 같습니다. 이번 발사는 북한으로서는 새로운 기술인데 잠재적으로 위험한 미사일 연료를 갖고, 바다에서 몇달 또는 몇주를 보내기에는 너무 위험합니다. 북한에는 잠수함이 많이 없기 때문에 이를 불태우길 원치 않을 것입니다.
그러면서도 가장 가까운 신포 조선소에서 잠수함이 출항됐을 가능성이 높지만, 다른 곳에서도 출항됐을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북한이 미국과 한국의 위성 탐지를 피해 새벽 시간과 날씨가 흐릿한 날에 맞춰 기습 발사했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미국 제임스 마틴 비확산센터의 데이비드 쉬멀러(David Schmerler) 선임연구원 “객관적으로 위성사진을 이용해 북한의 미사일 준비 활동을 모두 포착하기는 어렵다”라며 “준비 활동이 야간에 발생한다던가 위성이 지나가는 순간 이전이나 이후에 활동이 발생하면 탐지하기가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이같은 이유로 북한 잠수함 발사 미사일을 활용한다면 향후 한미당국의 탐지 및 요격이 어려울 거란 분석이 제기됩니다.

정성학 한국 경북대학교 국토위성정보연구소 부소장은 이날 자유아시아방송에 “물속에서 움직이는 잠수함의 위치는 현대 기술로는 아직 파악이 안 된다”며 “함경남도 신포 조선소 잠수함기지는 잠수함이 수리나 정비를 위해 물 위로 떠 올라와서 정박하거나 새로운 잠수함을 건조하거나 하는 동향을 보는 곳이고, 물속 어디에 가 있는지는 찾기 힘들기 때문에 잠수함 미사일 발사 장소를 찾기는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때문에 북한의 위협이 더 커졌다는 지적입니다.
로버트 수퍼(Robert M. Speer) 전 미 국방부 핵·미사일방어정책 담당 부차관보는 이 날 RFA 자유아시아방송에 “북한의 잠수함은 미국보다 역내 국가들에 대한 위협”이라며 “특히, 순항미사일 발사 잠수함은 북한 핵억제 생존력(the survival of nuclear deterrent) 을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유사시 북한 잠수함이 바다로 들어가면 이는 한미일의 대북 목표물(Target) 공격 전략 수행을 어렵게 한다”라며 “북한은 잠수함 발사 순항미사일을 통해 이제는 지상에서 뿐 아니라 해상에서도 전략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자신들이 그런 핵보유국이라는 메시지를 전해주고 싶어하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미 연구기관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조셉 버뮤데즈(Joseph Bermudez) 선임 연구원도 “신포 조선소나 잠수함발사탄도와 관련한 CSIS의 모든 분석에서 우리는 북한이 김정은의 선택에 따라 언제든지 새로운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시험을 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번에 북한이 시험한 잠수함발사순항미사일이나 잠수함에 탑재된 새로운 후속 미사일이 성공적으로 개발되고 배치된다면, 이 지역의 미사일 방어 능력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영국 민간연구기관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 International Institution for Strategic studies)의 조셉 뎀시(Joseph Dempsey) 연구원은 "북한이 지상발사 순항미사일을 보여줬지만 이 미사일 역량과 관련에 몇가지 주요한 의문점들이 남아있다"라며 "특히, 순항 미사일 유도와 운항 장치(Guidance and navigation)와 또 북한이 이 순항미사일에 장착할 수 있도록 소형화된 전술핵탄두를 성공적으로 생산했는지도 불분명하다"라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잠수함발사순항미사일 소식을 하루 늦게 공개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뒤늦은 공개는 감시 정찰 자산이 노출될 우려 때문이라며 북한의 순항미사일이 잠수함에서 발사되더라도 한국 군의 요격체계로 충분히 대응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합참이 파악한 내용은 북한이 발표한 내용과 다소 다른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자 박재우, 이상민, 노정민에디터 박정우,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