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주요 7개국 즉, G7은 북한이 계속적인 불법 핵과 탄도미사일 개발 활동으로 핵보유국 위상을 절대 얻지 못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G7은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등 7개국을 말합니다.
이 7개 나라 외교장관 회의가 지난 16일 일본 나가노현 가루이자와에서 열린 가운데 G7비확산 국장그룹(G7 Non-Proliferation Directors Group)은 17일 북한의 핵과 탄도미사일 개발을 강력히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이들은 성명에서 북한의 핵무기와 탄도미사일 개발은 국제사회에 대한 명백하고 심각한 위협이자 다수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대한 뻔뻔한 위반이라고 비난했습니다.
특히, 북한의 미사일발사는 평양 비행정보구역(Flight Information Region)을 지나가는 민간항공기에 용납할 수 없는 위험이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비행정보구역은 항공기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비행과 항공기의 수색∙구조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획정한 구역으로 한반도에서는 한국이 관할하는 인천 비행정보구역과 북한이 관할하는 평양 비행정보구역으로나누어져 있습니다.
G7은 또한 북한이 전술핵무기를 개발하겠다는 반복적인 주장과 핵공격 위협 발언들 및 갱신된 핵무력정책법을 심각히 우려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굴착 활동이 계속되고 있다며 이런 일련의 행동들은 불법적인 핵과 탄도미사일 역량 개발을 지속하고 있는 북한의 노력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런 무모한 행동들이 북한에 핵전파방지조약(NPT)에서 규정하는 핵무기 보유국 혹은 다른 특별한 위상을 절대 부여할 수 없고, 부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These reckless actions cannot and will never confer the DPRK the status of a nuclear-weapon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NPT or any special status whatsoever)

오히려 이런 행동들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추가 조치를 비롯해, 국제사회의 연합되고 강력한 대응을 긴급히 요구한다고 덧붙였습니다.
G7은 또 북한이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들에 따라 핵무기와 기존 핵프로그램, 다른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복구불능한 방법(CVID)으로 폐기하도록 한다는 공약을 재다짐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추가 핵 혹은 탄도미사일 시험을 통한 긴장고조를 멈추고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들을 준수하며 조속한 시일 내에 핵전파방지조약과 모든 국제원자력기구 안전조치(safeguards)들을 준수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습니다.
이어 일본, 미국, 한국 등을 포함 관련 당사국들이 반복적으로 제안하는 대화를 수용하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G7은 아울러 모든 유엔 회원국들은 자국에서 일하고 있는 북한 노동자들을 북한으로 돌려보내는 등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를 분명히 이행해야 하고 또 북한의 불법환적 단속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북한의 러시아 군대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일 외교장관은 17일 양자회담을 갖고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를 비롯해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대해 양국이 협력해 대처할 방침을 확인했습니다.
미 국무부는 이날 회담에서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은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에게 한미 양자 관계의 최근 개선에 대해 축하했으며, 두 장관은 자유롭고 번영하는 인도∙태평양 지역 유지를 위해 한미일 3자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소개했습니다.
앞서, 한미일 3국은 지난 14일 3년 만에 한미일 안보회의(DTT)를 워싱턴 DC에서 개최하고 미사일방어훈련과 대잠수함전 훈련 정례화에 합의했습니다.
기자 이상민, 에디터 박정우,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