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외무장관 “북 탄도미사일 강력 규탄” 성명

17일 일본 나가노현 가루이자와에서 회의를 가진 주요7개국(G7) 외무장관 및 유럽연합(EU) 대표.
17일 일본 나가노현 가루이자와에서 회의를 가진 주요7개국(G7) 외무장관 및 유럽연합(EU) 대표. (/일본 외무성 트위터)

0:00 / 0:00

앵커 : 일본에서 사흘간의 회의를 마친 주요 7개국(G7) 외무장관들은 다시 한번 북한의 거듭되는 탄도미사일 시험을 강력 규탄하면서 북한에 대화로 돌아올 것을 촉구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을 비롯해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등 주요 7개국, 즉 G7 외무장관들은 회의 마지막 날인 18일 공동으로 채택한 성명을 통해 4월 13일 북한이 고체연료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라고 주장한 발사를 포함해 전례 없이 많은 불법 탄도미사일 발사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성명은 북한의 모든 탄도미사일 발사가 다수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하는 것으로 북한의 행동은 지역 안정을 훼손하고, 국제 평화와 안보에 중대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한 추가적인 핵 실험이나 발사를 포함해 불안정하고, 도발적인 행동을 자제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성명은 유엔 안보리가 취할 추가적인 중요 조치에 대해 신속·단결되고, 강력한 국제적 대응으로 맞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G7 장관들은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라 북한이 핵무기와 기존 핵 프로그램, 기타 대량살상무기(WMD) 및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이 폐기한다는 목표에 대한 확고한 약속을 재확인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에 핵확산금지조약(NPT)과 국제원자력기구(IAEA) 안전조치를 완전히 준수하고, 포괄적 핵실험금지조약(CTBT)에 서명 및 비준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또 북한에 미국, 한국, 일본으로부터의 대화 제안을 받아들일 것을 주문했습니다.

성명은 이밖에도 북한의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 공조 강화의 필요성도 강조했습니다.

장관들은 성명에서 “우리는 북한 주민의 복지보다 불법적인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우선순위에 두는 북한의 선택에 따라 증가하는 북한의 인도주의적 위기에 대해 깊이 우려한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에 조직적인 인권 유린 문제를 개선하고, 인도주의 단체의 접근을 풀어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한편 이날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기자회견에서 핵군축 및 비확산 문제의 심각성을 언급하며,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를 가장 큰 도전과제 중 하나로 꼽았습니다.

기자 김소영, 에디터 박정우, 웹팀 이경하